본문으로 바로가기

바이든 회유에도…미-러 중간서 꿈쩍 않는 주변국

세계

연합뉴스TV 바이든 회유에도…미-러 중간서 꿈쩍 않는 주변국
  • 송고시간 2022-06-13 16:30:18
바이든 회유에도…미-러 중간서 꿈쩍 않는 주변국

[앵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이 러시아에 전례 없는 제재를 가하고 있습니다.

전통적 우방국들이 대러 제재에 합류하긴 했지만, 반러시아 연대를 확장하는 데는 실패했다는 평가입니다.

한미희 기자입니다.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동시에 국제사회에서 러시아를 경제적, 외교적으로 고립시키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과거 공산권에 대항하기 위해 북미와 유럽 국가들이 모여 만든 북대서양조약기구 NATO 회원국과 일본, 한국, 호주 등 전통적 우방국들이 제재 대열에 동참했습니다.

중립을 표방했던 나라들까지 설득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했던 미국의 기대와 달리, 조 바이든 행정부의 회유에도 돌아선 국가는 거의 없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

아시아와 남미, 아프리카 일부 국가들이 복잡한 이해관계 속에서 러시아와 관계를 유지하며 줄타기를 하고 있다는 겁니다.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회담을 촉구하면서 여전히 러시아와 그 동맹국인 벨라루스에서 비료를 수입하는 브라질이 대표적입니다.

인도는 서방의 우려와 압박 속에서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은 나토의 도발로 러시아가 전쟁을 일으킨 것이라며 러시아 편을 들었습니다.

미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약탈한 곡물을 수입하지 말라고 경고했지만, 기근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국가들로선 수백만 명이 굶어 죽는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자국의 이익이나 국민의 생존이 걸린 문제에선 전략적 줄타기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입니다.

외교적 노력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다급해진 쪽은 미국이 됐습니다.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 등으로 국제유가가 치솟자 바이든 대통령은 한때 '왕따'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던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를 내달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

#대러제재 #바이든_사우디 #우크라이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