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18년째 채택…한국, 공동제안국 불참

세계

연합뉴스TV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18년째 채택…한국, 공동제안국 불참
  • 송고시간 2020-06-23 15:11:06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18년째 채택…한국, 공동제안국 불참

[앵커]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의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인권결의안을 18년 연속 채택했습니다.

한국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공동제안국에는 참여하지 않았는데요.

최근 북한이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등 대남강경모드인 상황에서 남북관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됩니다.

이상현 기자입니다.

[기자]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에서 벌어지는 인권 침해와 반인권 범죄를 규탄하고 책임 규명을 촉구하는 인권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현지시간 22일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회의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합의로 결의했습니다.

이는 2003년부터 올해까지 18년 연속으로 채택된 것입니다.

결의는 "북한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 침해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북한 내 인권 상황이 악화했을 것으로 본다면서 발병 시 주민에 대한 시기적절한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채택에는 동참했으나 유럽연합이 제출한 결의안 초안의 공동제안국 명단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빠졌습니다.

정부는 "북한 주민의 인권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한다는 입장 하에 채택에 동참했다"면서도 "한반도 정세 등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공동제안국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가 언급한 한반도 정세 등 상황은 남북관계 특수성이나 현재 평화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북한은 결의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제네바 주재 북한 대표부 한대성 대사는 미국의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을 언급하며 "인권이사회는 서방 국가의 인권 상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북한은 결의안을 거부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그간 인권결의안을 도발로 규정하며 강력 반발하는 모습을 보여온 만큼 경색된 남북관계에 어떤 변수가 될지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이상현입니다. (hapyry@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