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제공][한국은행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은 수출 위주의 경제인 만큼, 통상 갈등이 확실히 큰 역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오늘(24일) CNBC와 미국 현지 인터뷰에서 미국발 관세 전쟁의 한국 영향과 관련해 이렇게 진단했습니다.

ADVERTISEMENT



이 총재는 "미국 관세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대한 미국 관세로부터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베트남 내 반도체 생산, 멕시코 내 자동차·전자제품 생산, 캐나다 내 한국 배터리 생산 등을 예로 들었습니다.

다만 그동안 우리 기업들이 공급망 다변화에 힘써왔기 때문에 통상 갈등이나 관세 문제를 해결할 힘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고 봤습니다.

이 총재는 "지난 5년 동안 공급망을 다변화했고, 특히 중국의 경쟁력 강화와 정치적 이슈에 따라 중국 의존도를 줄여왔다"며 "경쟁국들과 비교해 우리 기업들이 통상갈등 이전부터 준비해온 만큼,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통상갈등으로 공급망 다변화는 더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올해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폭에 대해 묻자 "경제·통상 관련 장관들이 내일 미국과 회담하는데, 그 이후에나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다"며 "통상 갈등이 심해질지 약해질 지와 재정정책을 통한 대응 등을 봐야하기 때문에 지금 한은 전망을 미리 짐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통상

#이창용 #한국은행 #성장률 #관세 #통상갈등 #무역갈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