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후 투자금을 회수한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은 투자금 회수까지 평균 2년 7개월이 걸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중소기업중앙회는 외식업계 프랜차이즈 가맹점 514개 사를 대상으로 지난달 4∼23일 실시한 '외식업계 프랜차이즈 가맹점 실태조사'를 한 결과 투자금을 회수했다고 응답한 가맹점은 전체의 49.6%로 집계됐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ADVERTISEMENT



이들 점주는 투자금 회수까지 평균 31개월이 조금 더 걸렸다고 응답했습니다.

'투자금 회수가 진행 중'(35.4%)이라고 응답한 점주는 투자금 회수까지 평균 38개월 넘게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응답 업체의 55.3%는 창업 이후에도 계속가맹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계속가맹금은 영업표지 사용료, 교육비, 경영지원비 등 명칭과 관계없이 가맹점이 가맹본부에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지급하는 모든 대가를 말합니다.

계속가맹금 지급 유형은 '정액로열티'(43.0%), '차액가맹금'(39.4%), '매출액에 대한 정률 로열티'(34.5%) 순으로 많았습니다.

차액가맹금은 가맹본부가 가맹점이 구입하는 필수적인 품목을 공급할 때 도매가격에 붙이는 일종의 유통 마진을 뜻합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가맹본부가 지정한 자와 거래할 것을 강제하는 품목인 '구입강제품목'이 없다는 응답이 13.6%로 나타나 '계속가맹금을 지급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44.7%)과 31.1%포인트의 차이가 났습니다.

이를 두고 중기중앙회는 구입강제품목 구입비용에 차액가맹금이 포함된 사실을 가맹점 사업자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로 분석했습니다.

구입강제품목 수준이 '적절하다'는 응답은 55.6%로 '적절하지 않다'(17.3%)보다 많았습니다.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구입강제품목 구입 시 가맹본부에 높은 차액가맹금을 지불하게 되는 것(63.6%)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습니다.

가맹본부에 지급하는 금액 중 과도하게 청구한다고 생각하는 비용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20.6%였습니다.

가맹점 창업 및 현재 경영상태에 대해서는 62.1%가 만족한다고 답했습니다.

#중기중앙회 #가맹점 #조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