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AI 유발 개인정보 위험성 심각"...국민 70% 이상이 걱정

사회

연합뉴스TV "AI 유발 개인정보 위험성 심각"...국민 70% 이상이 걱정
  • 송고시간 2025-03-31 14:03:24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국민 10명 가운데 7명 이상 꼴로 '인공지능(AI)이 유발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위험이 심각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31일) 공개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2024년 개인정보보호 및 활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9~12월 공공기관 1,200곳과 종사자 수 1인 이상 기업 6천곳의 개인정보처리자를 비롯해 만 14세~79세 내국인 3천 명에게 물어보니, 'AI가 유발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위험이 심각하다'고 응답한 성인과 청소년은 각각 76.1%, 76.2%였습니다.

'AI 서비스의 개인정보 처리 현황 공개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비율은 성인 72.1%, 청소년 71.0%로 집계됐습니다.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성인과 청소년은 모두 90%를 넘었습니다.

다만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개인정보를 제공할 경우 '관련 동의 내용을 확인한다'는 비율은 성인 55.4%, 청소년 37.4%에 머물렀습니다.

동의 내용을 확인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성인(32.5%)과 청소년(34.8%) 모두 '내용이 많고 이해하기 어려워서'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개인정보를 제공할 때 가장 제공하고 싶지 않은 정보를 묻는 항목에선 성인은 '고유식별정보'를, 청소년은 '인적사항'을 들었습니다.

개인정보처리자를 대상으로 한 '개인정보 보호조치 이행률' 조사의 경우 공공기관은 99.5%, 민간기업은 59.9%였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공공기관은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과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 등의 조치를 이행하고 있었고, 민간기업은 주로 '악성프로그램 방지대책'과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으론 공공기관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기술개발 및 보급의 촉진'을 들었습니다.

민간기업은 '개인정보의 보호뿐만 아니라 원활한 활용까지 고려한 균형있는 정책 추진'을 꼽았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leess@yna.co.kr)
close_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