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 2023년 소상공인 기업체의 평균 영업이익이 2,500만원으로 전년보다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이런 내용의 '2023년 소상공인실태조사' 잠정결과를 오늘(27일) 발표했습니다.

ADVERTISEMENT



해당 조사는 그간 통계청과 전국사업체조사 명부를 활용해 공동으로 진행했지만, 올해는 중기부가 단독으로 기업통계등록부를 기준으로 조사했습니다.

소상공인 기업체 수는 2023년 기준 596만1천개로 조사 기준이 바뀌면서 전년(사업체 412만4천개)보다 늘었습니다.

경영실적을 보면 기업체 당 연간 영업이익은 2,500만원으로 전년보다 19.35% 줄었고, 매출액은 1억9,900만원으로 14.91% 감소했습니다.

소상공인 기업체 5개 중 3개는 부채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채를 보유한 소상공인 기업체는 전체의 60.9%로 전년(59.3%)보다 소폭 높아졌으며 부채액은 1억9,500만원으로 5.41% 늘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업체 종사자 수는 955만1천명으로 전년(713만5천명)보다 증가했고, 기업체 당 종사자 수는 1.60명으로 전년(1.73명)보다 줄었습니다.

업종별 기업체 수를 보면 도소매업이 200만개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업 85만4천개, 숙박·음식점업 79만개, 제조업 55만4천개, 건설업 55만1천개 등의 순이었습니다.

업종별 종사자 수도 도소매업이 299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숙박·음식점업 140만6천명, 제조업 130만2천명, 건설업 107만6천명, 부동산업 107만6천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창업 동기 조사에서는 '자신만의 사업을 직접 경영하고 싶어서'가 62.6%로 응답 비중이 가장 높았고 '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28.9%), '임금근로자로 취업이 어려워서'(5.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소상공인들은 체감하는 경영 애로사항으로 경쟁 심화, 원재료비, 상권쇠퇴, 보증금·월세, 최저임금 등을 꼽았습니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2023년에는 일상으로의 회복이 진행됐으나 증가한 부채와 고금리·고물가로 소상공인의 경영 여건이 녹록지 않았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기부는 다음 달 실태조사 확정 결과가 나오면 이를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정책 수립의 참고 자료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소상공인 #부채 #영업이익 #중기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