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방산 호황에 HD현대·한화그룹 순위 급등…롯데는 19위 추락
![](https://yonhapnewstv-prod.s3.ap-northeast-2.amazonaws.com/article/AKR/20250129/AKR20250129102618486_01_i.jpg)
삼성그룹이 지난해 국내 대기업그룹 시가총액 순위서 1위를 유지했으나, 시총 규모는 5년 만에 최소 수준에 그쳤습니다.
오늘(29일) 한국거래소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한 그룹사의 시총 변화를 집계한 결과, 삼성그룹 시총은 지난해 말 기준 543조3천330억원으로 전년 709조6천920억원에 비해 23.44% 감소했습니다.
국내 대기업그룹 1위 자리는 확고했지만, 시총 규모는 2019년 514조1천120억원 이후 최소치로 줄어들었습니다.
반도체 경쟁에 비상이 걸리며 지난해 주가가 32.23% 하락한 삼성전자의 부진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SK그룹은 전년 대비 12.81% 증가한 202조7천280억원으로 순위를 한 단계 끌어올리며 2021년 이후 3년 만에 2위 자리를 되찾았습니다.
이는 HBM 경쟁력에서 독보적 우위를 확보한 SK하이닉스가 AI 반도체 랠리에 힘입어 주가가 22.90% 오른 것이 주요 배경으로 분석됩니다.
LG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이 이차전지와 석유화학 사업에서 고전한 결과, 그룹 시총이 144조6천460억원으로 23.88% 감소하며 3위로 순위가 한 계단 하락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0.90% 증가한 시총 141조6천520억원으로 4위를 유지했습니다.
5위는 123.93%의 증가율로 시총 76조8천400억원을 기록한 HD현대그룹으로 조선업 호황 등에 힘입어 전년도 10위에서 5계단이나 순위를 끌어올렸습니다.
이어 셀트리온그룹, 포스코그룹, 한화그룹, 카카오그룹, 네이버그룹이 10위권에 포함됐습니다.
한화그룹은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조선 및 우주항공 계열사의 강세 속에 순위가 11위에서 8위로 높아졌습니다.
2021년 10위였던 롯데그룹은 2022년 11위, 2023년 12위에 이어 지난해 19위까지 순위가 급락했습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말 유동성 우려가 제기된 끝에 롯데월드타워를 담보로 제공하고 저수익 자산을 매각하는 등 자구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기업그룹 #시가총액 #삼성 #SK #LG #현대차 #HD현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형섭(yhs93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