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https://d2k5miyk6y5zf0.cloudfront.net/article/MYH/20250129/MYH20250129015700641.jpg)
00:00
00:00
[앵커]
북한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신 행정부의 대화 손짓에도 호응하지 않는 듯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핵시설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핵대응 태세를 강화하겠다며 강경한 태도까지 보였는데요. 보도에 장효인 기자입니다.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이 핵대응 태세를 무한히 강화하겠다며 대미 강경 기조를 또다시 드러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핵물질 생산기지와 핵무기 연구소를 방문해 현존하는 위협과 새로운 안보 위험 등에 대비하려면 "핵방패의 부단한 강화가 필수불가결"하다고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우리 국가의 핵대응 태세를 한계를 모르게 진화시키는 것은 우리가 견지해야 할 확고한 정치군사적 입장이며 변함없는 숭고한 의무이고 본분"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세계적으로 가장 불안정하며 간악한 적대국들과의 장기적인 대결이 불가피"하다면서도, 미국을 의식한 듯 적대국을 특정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대화 재개 시사에 호응하지 않은 채 핵무력 강화 노선을 관철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김 위원장은 또 미국의 유화적 손짓에 당분간 거리를 두며 민심 이반을 막고 내부 결집을 도모하는 행보에 주력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됩니다.
실제 김 위원장은 지방 간부의 비위를 "추호도 용서할 수 없는 특대형 범죄 사건"이라고 공개 질타하며 내부 기강 잡기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중대한 당내 결함을 대담하게 인정하고 제때에 특대사건화하는 것이 혁명에 이롭고 유익하다"며, '간부 혁명화'를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뜻에 따라 한미 연합훈련이 중단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연달아 나왔습니다.
미 국방부 당국자는 "올해 한미 연합훈련은 예정대로 실시될 것"이라면서도 "트럼프 대통령 판단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측근도 최근 "북한과 선의의 협상을 할 가능성이 있다면 협상 과정에서 훈련을 일시 중단하는 것도 해롭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장효인입니다. (hijang@yna.co.kr)
#북한 #북미관계 #북미대화 #한미연합훈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