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스팸문자 급증에 2차 피해 주의…경찰 관련 수사 착수

사회

연합뉴스TV 스팸문자 급증에 2차 피해 주의…경찰 관련 수사 착수
  • 송고시간 2024-06-22 17:27:23
스팸문자 급증에 2차 피해 주의…경찰 관련 수사 착수

[앵커]

모르는 번호로부터 주식투자, 대출 권유 등 홍보성 문자 받아보셨을 겁니다.

올해 5월까지만 벌써 스팸 문자 신고가 총 1억7천만 건에 육박하는데요.

시민단체가 스팸메일 폭증 이유가 궁금하다며 수사를 의뢰했고 경찰도 규명에 나섰습니다.

문승욱 기자입니다.

[기자]

'클릭하고 가입하면 급등주 3개 수령', '돈을 벌게 해준다.'

심지어 유명한 투자 업체의 이름을 대면서 링크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모두 수신자의 동의를 받지 않은 '스팸 문자'입니다.

지난해 스팸 신고 건수는 약 2억9천만 건, 2년 전보다 7배 늘었습니다.

올해만 해도 벌써 신고가 1억7천만 건에 육박하는데, 5개월 만에 지난해 전체 건수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이번 달 스팸 신고는 전월 동기 대비 약 40% 증가했습니다.

불법 투자 리딩방과 대출, 도박 등의 스팸 문자는 2차 피해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최근 이례적인 스팸 문자 급증과 그에 따른 범죄 악용 사례가 잇따르자 시민단체가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한범석 / 참여연대 통신소비자분과장(지난 20일)> "편리하고자 이용하는 서비스가 오히려 불편을 초래하고 있고 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 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이나 민간 기업에서 개인 정보가 해킹이나 업무상 과실로 인해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해킹에 의한 유출이 전체 151건으로 전체 정보 유출 318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습니다.

경찰도 스팸문자 급증 원인 규명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이미 경찰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개인정보를 해킹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판매한 이들을 조사 중입니다.

이와 함께 해커와 문자 대량 발송 서비스 업체 대표 등을 상대로 개인정보 유출 경로와 실제 피해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불법 스팸 문자 발송률이 높은 문자 중계사와 문자 재판매사가 법적 의무를 위반했는지 긴급 점검에 나섰습니다.

연합뉴스TV 문승욱입니다. (winnerwook@yna.co.kr)

#해킹 #개인정보유출 #스팸문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