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연이은 땅꺼짐 현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도 앞다퉈 땅속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결과를 공개하지는 않고 있는데요.
서울시와 부산시의 경우 2년 전에 땅속 안전지도까지 만들고도 공개하지 않아 논란입니다.
고휘훈 기자입니다.
[기자]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는 땅꺼짐 사고.
예측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해 '도심 속 시한폭탄'이라는 말까지 나옵니다.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된 것인 만큼 대비를 위해 지자체들은 땅속 안전 점검을 벌이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2년 전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작성했습니다.
이 지도는 땅꺼짐 위험도를 5단계로 등급화하고,
노후 상수도관이나 지하에 공사 중인 곳 등을 위험지역으로 분류한 자료입니다.
A~C등급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거나 보통인 구간,
D~E등급은 위험도가 높아 집중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구간입니다.
최근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다친 강동구 명일동 땅꺼짐 사고의 경우 당시 E등급으로 분류됐습니다.
그러나 서울시는 안전지도를 만들고도 공개는 하지 않았습니다.
<고휘훈 기자> "부산시도 안전지도를 만들고도 일반에 공개하고 있지 않습니다."
부산시는 2023년 국책사업 공모에 선정돼, 시내 주요 도로 1500㎞ 구간에 대해 '도로 함몰 안전지도'를 작성했습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표투과레이더, 이른바 'GPR 장치'로 싱크홀을 탐사한 실적,
그리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하 매설물 데이터를 종합해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역시 내부 자료로만 활용하고 있습니다.
<부산시 관계자> "따로 공개해야 할 그런 게 아니고. 저희들이 우선순위, 내부적으로 이런 사항이 있다는 걸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것이지… "
일각에서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까봐 지자체들이 자료를 만들고도 공개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합니다.
<강정규/동아대학교 부동산학과> "체계적인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어떤 법률적인 뒷받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개가 되지 않을 수 있다라고 판단하고. 그러한 것들이 부동산 가격 특히 인근 주거지 중심으로 한 주택 가격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
불안감이 이어지자 부산시는 최근 땅꺼짐 사고가 발생한 구간에 한 해 안전지도를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시민들 스스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스스로 안전지도를 제작해 공유하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서울시도 비공개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자 현재 진행 중인 지표투과 탐지가 끝나면 그 결과를 토대로 지도를 완성해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
[영상취재기자 강준혁]
[그래픽 성현아]
#땅꺼짐 #싱크홀 #안전지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고휘훈(take5@yna.co.kr)
연이은 땅꺼짐 현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도 앞다퉈 땅속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결과를 공개하지는 않고 있는데요.
ADVERTISEMENT
서울시와 부산시의 경우 2년 전에 땅속 안전지도까지 만들고도 공개하지 않아 논란입니다.
고휘훈 기자입니다.
[기자]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는 땅꺼짐 사고.
예측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해 '도심 속 시한폭탄'이라는 말까지 나옵니다.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된 것인 만큼 대비를 위해 지자체들은 땅속 안전 점검을 벌이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2년 전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작성했습니다.
이 지도는 땅꺼짐 위험도를 5단계로 등급화하고,
노후 상수도관이나 지하에 공사 중인 곳 등을 위험지역으로 분류한 자료입니다.
A~C등급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거나 보통인 구간,
D~E등급은 위험도가 높아 집중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한 구간입니다.
최근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다친 강동구 명일동 땅꺼짐 사고의 경우 당시 E등급으로 분류됐습니다.
그러나 서울시는 안전지도를 만들고도 공개는 하지 않았습니다.
<고휘훈 기자> "부산시도 안전지도를 만들고도 일반에 공개하고 있지 않습니다."
부산시는 2023년 국책사업 공모에 선정돼, 시내 주요 도로 1500㎞ 구간에 대해 '도로 함몰 안전지도'를 작성했습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표투과레이더, 이른바 'GPR 장치'로 싱크홀을 탐사한 실적,
그리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하 매설물 데이터를 종합해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역시 내부 자료로만 활용하고 있습니다.
<부산시 관계자> "따로 공개해야 할 그런 게 아니고. 저희들이 우선순위, 내부적으로 이런 사항이 있다는 걸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것이지… "
일각에서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까봐 지자체들이 자료를 만들고도 공개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합니다.
<강정규/동아대학교 부동산학과> "체계적인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어떤 법률적인 뒷받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개가 되지 않을 수 있다라고 판단하고. 그러한 것들이 부동산 가격 특히 인근 주거지 중심으로 한 주택 가격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
불안감이 이어지자 부산시는 최근 땅꺼짐 사고가 발생한 구간에 한 해 안전지도를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시민들 스스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스스로 안전지도를 제작해 공유하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서울시도 비공개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자 현재 진행 중인 지표투과 탐지가 끝나면 그 결과를 토대로 지도를 완성해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
[영상취재기자 강준혁]
[그래픽 성현아]
#땅꺼짐 #싱크홀 #안전지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고휘훈(take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사회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