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이번 한미 협의에는 8개 부처 정부 당국자들이 충출동했습니다.

미국 측이 문제 삼은 비관세장벽과 관련 논의 가능성에도 대비하기 위해선데요.

ADVERTISEMENT



임혜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는 50여명 규모의 대규모 방미단을 꾸렸습니다.

주요 협상 대상인 산업부, 기재부 포함 외교부, 과기부 등 8개 부처 당국자들이 방미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정부가 매머드 방미단을 꾸린 건 트럼프 행정부의 돌발 의제 설정에 대비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입니다.

앞서 미국은 각국의 비관세장벽을 문제 삼고, 이를 관세 부과 명분으로 삼았습니다.

한국에 대해선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제한과 고정밀 지도 데이터 해외반출 제한 등을 대표적 비관세장벽으로 지적한 바 있습니다.

정부 대표단은 미측이 제기하는 비관세장벽에 따른 '불공정 무역'에 대한 의문 해소에 주력한다는 입장입니다.

담당부처, 담당인사의 참여로 국내 산업 상황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양국이 향후에 이 협력을 이어나갈 수 있는, 윈윈 할 수 있는 협의의 토대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이번 협의에서 정부는 미측의 상호관세 철폐 또는 유예를 이끌어낸단 목표입니다.

미국이 요구하고 있는 LNG 수입과 조선업 협력 등에 대한 반대급부로 관세 변화를 유도해 낸단 계획입니다.

메인인 2+2 회의 이후 미 무역대표부 측과의 개별 협의에서 더욱 구체적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는 다만 이번 방미 대표단에 방위비 분야를 담당하는 인사는 제외했습니다.

산업, 통상 이슈와 방위비 이슈는 이번 협의에서 분리해 대응하겠단 전략입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트럼프 #관세 #한미

영상취재 임예성

영상편집 박은준

그래픽 윤정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