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4월은 1년 중에서도 대형 산불 가장 빈번한 시기인데요.
올해는 잦은 봄비 덕에 산불 건수가 평년대비 크게 줄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다음 달부터는 다시 고온건조한 날씨가 나타날 전망이라 산불에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재훈 기자입니다.
[기자]
최악의 산불이 휩쓸었던 지난달과 달리 이번 달은 비가 자주 내리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 서울에 0.1㎜ 이상 강수량이 기록된 날은 7차례.
3일에 한 번 꼴로 비가 내린 것입니다.
잦은 비는 가뭄 걱정을 덜어주고 산불 예방에 톡톡한 역할을 했습니다.
지난 1일부터 21일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56건.
같은 기간 최근 10년 평균치의 60% 수준입니다.
특히 4월은 대형 산불이 가장 잦은 시기인데, 올해 4월은 아직 대형 산불이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잦은 봄비 덕에 산불의 큰 고비를 넘어가고 있지만 방심은 금물입니다.
기후변화로 산불조심기간이 끝나는 5월 중순 이후에도 산불이 잦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1년 산불 일수는 90년대에 100일었는데, 최근에는 200일까지 두 배나 늘어났습니다.
<권춘근/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박사> "산불조심기간 이후에 발생하는 산불의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즉 산불이 일상화 되었다라고 하는 부분도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할 부분입니다."
기상청은 다음 달은 평년보다 기온이 높고 강수량은 적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고온 건조한 날씨에 물기들이 빠르게 증발할 경우 다시 산불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여름철 산불도 증가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불씨 관리가 필요합니다.
연합뉴스TV 김재훈입니다.
#산불 #봄비 #기후변화 #고온건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재훈(kimjh0@yna.co.kr)
4월은 1년 중에서도 대형 산불 가장 빈번한 시기인데요.
올해는 잦은 봄비 덕에 산불 건수가 평년대비 크게 줄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DVERTISEMENT
다만 다음 달부터는 다시 고온건조한 날씨가 나타날 전망이라 산불에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재훈 기자입니다.
[기자]
최악의 산불이 휩쓸었던 지난달과 달리 이번 달은 비가 자주 내리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 서울에 0.1㎜ 이상 강수량이 기록된 날은 7차례.
3일에 한 번 꼴로 비가 내린 것입니다.
잦은 비는 가뭄 걱정을 덜어주고 산불 예방에 톡톡한 역할을 했습니다.
지난 1일부터 21일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56건.
같은 기간 최근 10년 평균치의 60% 수준입니다.
특히 4월은 대형 산불이 가장 잦은 시기인데, 올해 4월은 아직 대형 산불이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잦은 봄비 덕에 산불의 큰 고비를 넘어가고 있지만 방심은 금물입니다.
기후변화로 산불조심기간이 끝나는 5월 중순 이후에도 산불이 잦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1년 산불 일수는 90년대에 100일었는데, 최근에는 200일까지 두 배나 늘어났습니다.
<권춘근/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박사> "산불조심기간 이후에 발생하는 산불의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즉 산불이 일상화 되었다라고 하는 부분도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할 부분입니다."
기상청은 다음 달은 평년보다 기온이 높고 강수량은 적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고온 건조한 날씨에 물기들이 빠르게 증발할 경우 다시 산불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여름철 산불도 증가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불씨 관리가 필요합니다.
연합뉴스TV 김재훈입니다.
#산불 #봄비 #기후변화 #고온건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재훈(kimjh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날씨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