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해운사에 입항 수수료를 내라고 선언했습니다.

이어 LNG선도 미국에서 건조하라는 의무 규정을 만들었는데, 영향권 안에 든 우리 조선업계도 고민에 빠졌습니다.

ADVERTISEMENT



임혜준 기자입니다.

[기자]

미 무역대표부는 오는 10월부터 중국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매기겠다고 밝혔습니다.

톤당 50달러, 3년 뒤엔 톤당 140달러까지 매년 인상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다른 나라가 운영하는 선박이라도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에 대해선 수수료를 물겠다고 했습니다.

미중 관세전쟁이 해운업으로도 번진 것인데, 중국과 선박 수주를 두고 경쟁 중인 우리 조선업엔 당장 호재로 여겨집니다.

미국을 의식한 해외 선사들이 중국으로의 발주 대신 기술력을 갖춘 한국으로 발걸음을 옮길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입항 수수료 부과에 이어 미국은 3년 뒤부터 LNG선을 미국에서 건조해야 한다는 규정을 만들었습니다.

미국에서 수출하는 LNG를 미국산 LNG선으로 운반하라는 건데, 에너지 수출을 늘리고 자국 조선업 부흥까지 동시에 꾀하겠단 겁니다.

장기적으로 영향권 안에 들 수밖에 없는 국내 조선사들에는 고민거리일 수밖에 없습니다.

여러 장애물을 비켜가기 위해선 미국 진출을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고려해야 할 게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미국 내 조선소는 20여곳으로 쪼그라들었고, 선박 건조 점유율도 0.2%에 불과할 정도로 전체적 업황이 쇠퇴했습니다.

선박 건조를 위한 기본 환경 조성부터 장기전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선뜻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은 상황인 겁니다.

<김영훈 / 경남대 조선해양IT학과 교수> "시스템이나 인력 그리고 기술 또 장비 이런 것들이 구축이 되어야 하는데 그게 당장 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중략) 기술적인 능력도 안되고 생산성도 없고 가격 경쟁력은 당연히 안되겠죠."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과 큰 변동성은 업계 전략 구상에 더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트럼프 #관세 #조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