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12·3 비상계엄 수사로 잠시 멈췄던 해병대원 순직사건 외압 의혹 수사를 재개합니다.
내일(23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불러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할 계획인데요.
수사에 속도가 붙을지 관심입니다.
배윤주 기자입니다.
[기자]
공수처는 12·3 비상계엄 수사에 전 인력을 투입하느라 다른 수사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를 이어왔습니다.
여기에 대통령 탄핵으로 공수처 검사 충원도 중단되면서 수사 여력은 더욱 줄어든 상황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공수처에 쌓인 사건들이 수사 시기를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는데, 공수처가 넉 달 만에 침묵을 깨고 해병대원 순직 사건 외압 의혹 수사를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이 사건 핵심 인물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불러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 절차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지만 잠금을 풀지 못해 증거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공수처 관계자는 "항명 혐의로 기소된 박정훈 수사단장의 1심 선고 결과가 나와, 수사를 진행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관련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는 수사팀 판단에 따라 포렌식을 진행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공수처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 이후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다만 넉 달 여 만에 재개한 수사가 속도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공수처 인력에 한계가 분명한 만큼 전직 대통령이 연루된 사건의 수사가 본격화하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배윤주입니다.
#윤석열 #해병대 #공수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임성근 #채상병사건 #포렌식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윤주(boat@yna.co.kr)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12·3 비상계엄 수사로 잠시 멈췄던 해병대원 순직사건 외압 의혹 수사를 재개합니다.
내일(23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불러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할 계획인데요.
ADVERTISEMENT
수사에 속도가 붙을지 관심입니다.
배윤주 기자입니다.
[기자]
공수처는 12·3 비상계엄 수사에 전 인력을 투입하느라 다른 수사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를 이어왔습니다.
여기에 대통령 탄핵으로 공수처 검사 충원도 중단되면서 수사 여력은 더욱 줄어든 상황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공수처에 쌓인 사건들이 수사 시기를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는데, 공수처가 넉 달 만에 침묵을 깨고 해병대원 순직 사건 외압 의혹 수사를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이 사건 핵심 인물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불러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 절차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지만 잠금을 풀지 못해 증거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공수처 관계자는 "항명 혐의로 기소된 박정훈 수사단장의 1심 선고 결과가 나와, 수사를 진행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관련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는 수사팀 판단에 따라 포렌식을 진행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공수처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 이후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다만 넉 달 여 만에 재개한 수사가 속도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공수처 인력에 한계가 분명한 만큼 전직 대통령이 연루된 사건의 수사가 본격화하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배윤주입니다.
#윤석열 #해병대 #공수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임성근 #채상병사건 #포렌식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윤주(boat@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사회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