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앵커]
의대 모집 정원 확대를 포함한 정부의 의료개혁 의지를 믿고 1년 넘게 기다려온 환자단체 등은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의대 진학을 준비해 온 수험생들도 혼란이 불가피해졌습니다.
계속해서 김유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이후 줄곧 날을 세워 온 대한의사협회는 모집 정원 동결 발표에 '정상화로 돌아가는 첫걸음'이라며 환영했습니다.
다만, 의료개혁 방향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면서 오는 일요일 서울 도심에서 열기로 한 궐기대회는 예정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성근/대한의사협회 대변인> "지금은 의료개혁과제를 추진하는 것을 멈추고 정리한 후 추후 의료계와의 지속가능한 개혁을 추진해야 합니다."
병원을 떠나는 의사들의 뒷모습을 바라만 보며 지난 1년 2개월 간 '의료 공백'을 버텨 온 환자단체는 허탈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정부의 원점 복귀 발표는 '대국민 사기극' 이라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김성주/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 "환자와 국민들은 여기까지 올 때까지 무엇 때문에 이렇게 희생과 고통을 받았는지…참담한 심정을 이루 말할 수가 없습니다."
결국 또 정부가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면서 의료개혁 전반의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박민숙/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 "정부가 끊임없이 무릎을 꿇고 있기 때문에…어떤 원칙에 대해서도 의사단체는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의사들만의 카르텔이 형성됐다고 보거든요."
증원 계획에 맞춰 수능을 준비해 온 수험생들의 혼란도 불가피해졌습니다.
수험생과 학부모 커뮤니티에선 이번 결정이 대입에 미칠 영향을 묻는 글이 다수 올라왔고, '소송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격앙된 반응도 나왔습니다.
한편, 교육부의 발표 직후 복지부가 "안타깝다"는 입장을 밝히며 정부의 정리되지 않은 입장차도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연합뉴스TV 김유아입니다.
(영상취재 김동화, 정창훈, 임예성)
#의대증원 #증원철회 #3,058명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유아(kua@yna.co.kr)
의대 모집 정원 확대를 포함한 정부의 의료개혁 의지를 믿고 1년 넘게 기다려온 환자단체 등은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의대 진학을 준비해 온 수험생들도 혼란이 불가피해졌습니다.
ADVERTISEMENT
계속해서 김유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이후 줄곧 날을 세워 온 대한의사협회는 모집 정원 동결 발표에 '정상화로 돌아가는 첫걸음'이라며 환영했습니다.
다만, 의료개혁 방향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면서 오는 일요일 서울 도심에서 열기로 한 궐기대회는 예정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성근/대한의사협회 대변인> "지금은 의료개혁과제를 추진하는 것을 멈추고 정리한 후 추후 의료계와의 지속가능한 개혁을 추진해야 합니다."
병원을 떠나는 의사들의 뒷모습을 바라만 보며 지난 1년 2개월 간 '의료 공백'을 버텨 온 환자단체는 허탈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정부의 원점 복귀 발표는 '대국민 사기극' 이라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김성주/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 "환자와 국민들은 여기까지 올 때까지 무엇 때문에 이렇게 희생과 고통을 받았는지…참담한 심정을 이루 말할 수가 없습니다."
결국 또 정부가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면서 의료개혁 전반의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박민숙/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 "정부가 끊임없이 무릎을 꿇고 있기 때문에…어떤 원칙에 대해서도 의사단체는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의사들만의 카르텔이 형성됐다고 보거든요."
증원 계획에 맞춰 수능을 준비해 온 수험생들의 혼란도 불가피해졌습니다.
수험생과 학부모 커뮤니티에선 이번 결정이 대입에 미칠 영향을 묻는 글이 다수 올라왔고, '소송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격앙된 반응도 나왔습니다.
한편, 교육부의 발표 직후 복지부가 "안타깝다"는 입장을 밝히며 정부의 정리되지 않은 입장차도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연합뉴스TV 김유아입니다.
(영상취재 김동화, 정창훈, 임예성)
#의대증원 #증원철회 #3,058명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유아(ku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사회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