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출연 :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와 살펴보겠습니다.

ADVERTISEMENT



안녕하세요?

<질문 1> 오늘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75%로 동결했습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을 한 이유,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2> 그런데 최근 달러지수가 100선 안팎으로 3년 만에 최저수준으로 내려왔고, 올해 들어서만 8% 넘게 폭락해 40년 만의 최악을 기록했다고요?

<질문 3> 환율뿐 아니라 최근 부동산 시장이 불안했던 부분도 금통위가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은데요?

<질문 4> 이런 가운데 한은이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어떤 이유에서인가요?

<질문 5> 미 백악관이 대중국 관세율을 245%로 표기한 자료를 홈페이지에 게시를 했는데요. 지난 10일에는 중국산 수입품에 매긴 합계 관세율을 145%라고 했는데, 245%가 어떻게 해서 나온 수치라고 보세요?

<질문 6> 중국은 이에 대해 국제적 농담이라며 숫자놀음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는데요. 중국은 어떤 속셈을 갖고 있을까요?

<질문 6-1>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미국 정부의 대 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로 엔비디아가 미중 사이의 최대 협상 카드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는데요. 이건 어떤 얘긴가요?

<질문 7> 파월 미 연준 의장이 관세가 예상보다 높아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는데요. 연준이 물가와 성장 어디에 더 초점을 맞출지 선택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습니다. 관세로 인해 물가와 실업률이 다 오른다면 최악의 상황, 아닌가요?

<질문 8> 간밤에 뉴욕증시의 주요 주가지수가 내림세로 마감됐는데요. 아무래도 파월 의장의 관세 부과 파급력과 관련된 발언이 영향을 끼쳤다고 봐야겠죠? 뉴욕증시 하락 이유, 어떻게 분석하시나요?

<질문 9>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관세 전쟁 속에 금값이 ‘진짜 금값’이 됐다는 말까지 나오는데, 금값이 어디까지 올라갈까요?

<질문 10>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10명 중 6명이 월세를 살고 있다고 하는데, 이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원인과 앞으로도 월세 수요가 계속 더 늘어갈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심은진(tinia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