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출연: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 회장>

최근 전국 곳곳에서 잇달아 땅꺼짐이 발생하면서, 평소에 걷고 있던 도로가 언제 꺼질지 모른다는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땅 밑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고,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 회장을 모시고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ADVERTISEMENT



<질문 1> 어제 인천 부평역 앞 횡단보도에서 땅꺼짐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사진을 보면 횡단보도가 마치 파도가 일렁이는 듯 휜 모양으로 바뀌고, 도로 곳곳에 금이 생겼는데요. 뿐만 아니라 오늘은 또 서울 압구정역과 돌곶이역 인근에서 땅꺼짐 의심신고가 발생했거든요. 유동 인구가 많은 역 근처라 자칫 더 위험한 상황이 생겼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질문 2> 수도권 뿐만 아니라 광주와 대구에서도 땅꺼짐이 발생해 시민들이 놀란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땅꺼짐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

<질문 3> 말씀해 주신 것처럼 땅꺼짐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낡은 상하수도가 꼽히는데, 현재 전국적으로 상하수도 상태가 어떤가요?

<질문 3-1> 서울시에 있는 하수관 가운데 50년이 넘은 낡은 하수관이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두 교체하려면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들 것으로 보이는데요. 당장 땅꺼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요?

<질문 4> 최근에 발생한 대형 땅꺼짐 사고를 보면, 철도나 터널 등 대형 공사 현장이었는데요. 땅꺼짐이 공사와도 연관이 있습니까?

<질문 5> 지반을 약화시키는 집중호우나 장마철을 앞두고 있어서 땅꺼짐에 대한 우려가 더욱 큽니다.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세요?

<질문 6> 땅 속을 일일이 열어볼 수가 없다 보니 GPR, 지표 투과 레이더를 쓰고 있습니다. 지하로 레이더를 쏴서 지하의 빈 공간을 탐사하는 건데, 깊은 땅속은 탐사가 안 된다는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질문 7> 땅꺼짐 현상이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도시 전역에서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불안이 큽니다. 언제 어디서 땅이 꺼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시민들은 어떻게 사고에 대비해야 할까요?

<질문 8> 땅꺼짐 사고에 대한 규정과 보상 여부, 책임 소재 모두 모호합니다. 땅꺼짐이 '재난 재해'를 규정한 어느 법에도 명시돼 있지 않기 때문인데요. 이렇다 보니, 제도적 뒷받침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어떤 부분에 보완이 가장 시급하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우선(wsj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