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출연 :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 회장]

[앵커]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로 고립됐던 근로자 1명이 13시간여 만에 구조됐습니다.

ADVERTISEMENT



소방당국은 남은 1명의 실종 근로자 소재를 파악 중인데요.

현재 수색 상황과 사고 원인,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 회장과 짚어보겠습니다.

[질문1] 지하 30여m 지점에 고립됐던 하청업체 소속 20대 굴착기 기사가 오늘 오전 4시 30분쯤 구조됐습니다. 사고 발생 13시간여 만인데요. 구조 작업이 생각보다 지체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2] 실종 상태인 또 다른 근로자 소식은 아직 들려오지 않고 있습니다. 오후부터 강풍을 동반한 비소식이 예고돼, 수색 작업을 서둘러야 할 텐데요. 실종된 50대 근로자는 지하터널의 상부인 도로 위 상판에서 다른 근로자들과 함께 작업을 하다 사고를 당한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조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이 되야 할까요?

[질문3] 붕괴 발생 17시간 전부터 공사 현장 곳곳에서 이상 징후가 감지됐다고 합니다. 어쩌다 이런 대형 사고로 이어지게 된 건가요?

[질문4] 감사원은 3년 전 "지반이 매우 불량하다"는 감사 결과를 낸 적이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콘크리트 시설물 '인버트'가 터널 설계에 반영되지 않은 점도 문제로 삼았다고 합니다. 이번 사고와 해당 지적이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5] 사고 원인과 관련해서 다양한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사고 전 관계기관이 모여 진행한 회의에 참여했던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터널 좌측 측압에 의한 변위 발생'이라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떤 의미인가요?

[질문6] 앞서 현장에서는 '투아치' 구조로 시공 중인 지하터널 내부의 가운데 기둥(버팀목) 다수에 균열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된 바 있습니다. 그런데 투아치 구조 공사 중 터널이 붕괴한 사례는 드물지만, 이번이 처음은 아니죠?

[질문7] 인근 지역 아파트 주민들에게는 대피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주민 2,400여 명은 대부분 잠도 제대로 자지 못한 채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는데요. 추가 붕괴 우려는 없을까요?

[질문8] 이번 사고를 계기로 다른 지하 공사 현장의 안전 점검도 필요할 것 같은데요. 사고 예방을 위해 어떤 대책이 필요하겠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성구(sunggu37@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