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이 수업 중 교사를 폭행한 사건과 관련해 교육청이 진상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교원단체들은 학생들의 교내 휴대전화 사용, 교권 침해와 관련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ADVERTISEMENT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수업 중 스마트폰으로 게임하는 것을 교사가 지적하자 집기를 부수고 교사를 폭행한 고3 학생.

사건이 벌어진 후 해당 학생은 교사들과 분리 조치됐습니다.

서울시교육청도 진상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조사 후엔 교권보호위원회를 열어 다른 안건보다 우선해 처리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 "(교권보호위원회는) 규정상 21일 이내에 열리게 돼 있는데, 어쨌든 신속하게 열겠다고 하니까 다음 주라도 바로 열릴 수 있기 때문에…"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은 해당 교사의 회복이 우선임을 강조하며 "목격한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상담과 교육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교권을 바로 세우기 위해 더 치열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양대 교원단체들을 비롯한 단체들은 일제히 유감을 표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학생의 휴대전화 소지와 사용에 대한 보다 철저한 기준을 마련하고 법령 개선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은 가해 학생에 대한 엄중한 조치와 교직원 대상 보호시스템이나 사후 조치 매뉴얼 마련 등을 당국에 요구했습니다.

일부 단체들은 2023년 '서이초 사건' 이후 교권보호위가 의무화됐음에도 적극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실질적으로 작동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동훈(yigiz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