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정치권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석방을 둘러싼 공방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오늘(10일) 여당은 오동운 공수처장을 검찰에, 야당은 심우정 검찰총장을 공수처에 각각 고발했는데요, 국회로 가봅니다.

ADVERTISEMENT



박현우 기자.

[기자]

네, 국민의힘은 우선 윤 대통령을 석방한 법원의 결정에 경의를 표했습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오전 당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헌법재판소도 윤 대통령 관련 수사의 부당성을 지적한 구속취소 판결을 당연히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동시에,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향해 포문을 열었습니다.

권 위원장은 법원이 공수처의 '내란죄 수사권'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내용을 판결문에 담았는데, 이 대표가 이 부분은 모른 체하며 구속 일수에 관한 언급만 하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권 위원장의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

<권영세/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이재명 대표는 검찰의 산수 잘못 운운하고 있는데, 이 대표의 국어 능력에 상당한 심각한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본인 재판이 코 앞에 있으니, 겁이 나서 법원에는 감히 말도 못 꺼내고 검찰에 대해서는 시대착오적인 음모론까지 들고나오고 있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법원 결정을 이행했다는 이유로, 법을 지켰다는 이유로 심우정 검찰총장을 탄핵하려고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5당의 심 총장 공수처 고발과 관련해서는 "불법에게 합법을 수사하라고 사주하는 기막힌 현실"이라고 쏘아붙였습니다.

국민의힘은 공수처를 겨냥해서도 법원 결정으로 존재 이유가 없다는 게 다시 한번 입증됐다며, 오동운 공수처장을 불법 체포·감금, 위증 등 혐의로 형사 고발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심우정 검찰총장을 연일 정조준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오전 당 회의에서 검찰이 "해괴한 잔꾀로 내란 수괴를 석방해줬다"면서, 윤 대통령 석방으로 온 국민이 불안해하고 있는데 도대체 누구를 위한 석방이느냐고 따져 물었습니다.

이 대표 발언도 직접 들어보시죠.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검찰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서만 왜 이리 관대한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한 패라서 그런 것이겠지요. 내란 수괴의 내란 행위에 사실상 검찰이 핵심적으로 동조할 뿐만 아니라, 또 주요 임무에 종사했던 것이 아닌가라는 의심이 듭니다"

박찬대 원내대표도 "구속의 주요 사유인 증거인멸 우려가 여전히 살아있는 상황에서 심우정 총장이 증거 인멸의 기회를 준 것 아니냐"며 "구질구질하게 굴지 말고 즉시 사퇴하라"고 거듭 압박했습니다.

당 소속 '내란진상조사단' 추미애·서영교 등 의원들은 대검을 직접 항의 방문했는데요.

이들 의원은 대검 간부들과 만나 수사팀의 즉시항고 의견을 묵살한 건 검찰 내부 민주성마저 침해한 직권남용이라며, 심 총장 사퇴를 재차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민주당은 심 총장이 사퇴 요구에 불응한다면 탄핵을 포함한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다시 한번 경고했습니다.

아울러 민주당은 다른 4개 야당과 함께 즉시 항고를 포기하고 윤 대통령 석방 지휘를 지시한 것은 "내란 공범임을 자백한 것"이라며 심 총장을 직권남용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습니다.

민주당은 어제에 이어 오늘 오후에도 광화문 인근에서 열리는 '야5당 공동 비상시국 대응을 위한 범국민대회'에 참석하는 등 윤 대통령 파면 촉구 장외 집회에도 적극 나서는 모습입니다.

[앵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국회에서 열릴 예정인 여야 국정협의체 회의, 그대로 진행되는 겁니까?

[기자]

네, 윤 대통령 석방 여파로 오늘 국정협의체 회의도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한 때 나왔습니다.

실제 이같은 전망에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석방과 국정협의회 참석 여부를 연계하는 '협량의 정치'가 있어선 안 된다고 날을 세우기도 했는데요,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추경이 시급하다"며 사실상 국정협의회 참석 의사를 밝혔습니다.

동시에, 추경에 대한 정부안 없이 협의회만 하자는 건 쇼라면서, 구체적인 추경안을 가져오라고 정부와 여당을 압박했습니다.

여야정은 예정대로 오후 3시반 우원식 의장실에서 마주 앉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연금개혁·추경 등의 민생 현안을 놓고 이견을 좁힐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현우(hwp@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