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뉴스리뷰]

[앵커]

여야가 각각 윤석열 대통령과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고리로 서로를 겨냥했습니다.

ADVERTISEMENT



조기 대선 가능성이 현실화할 경우를 대비한 정치적 셈법이 깔린 거로 보이는데요.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문제로도 충돌했습니다.

조한대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대표가 "윤 대통령과 여당의 절연까지 80여일 남았다"고 예고한 데 이어, 민주당은 '대통령 파면은 역사적 필연'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대통령 파면' 시 현실화할 조기 대선과 재보선을 같은 날 치러 혈세를 아낄 수 있도록, 탄핵 심판 선고가 3월 13일 전에 나와야 한다는 구체적인 데드라인까지 제시했습니다.

<진성준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할 수만 있다면 헌재가 3월 13일 이전에 탄핵 결정을 내려 주기를 바랍니다. 재·보궐선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고 지연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비용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 대표를 '범죄종합세트'에 비유하면서 대통령에 당선되면 자신의 재판이 중단된다는 궤변을 밀어붙인다고 비판했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사법부는 '이재명 방탄 세력'의 궤변에 흔들리지 말고 공정한 판결을 내릴 것을 촉구한다"며 '6-3-3' 조항을 복원해 6월까지 선거법 사건 확정판결을 내릴 것을 압박했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 "대법원은 사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 복원을 위해 반드시 금년 6월 26일 안에 최종 판결을 내려야 합니다. 2심에서 날린 40여 일을 만회하기 위해 5월 중에 최종심 선고를 내리는 방안도 검토하길 바랍니다."

이처럼 여야가 상대방을 겨냥해 구체적인 재판 일정까지 거론한 건, 조기 대선 가능성에 대비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정치적 수싸움이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이 대표 대법원 선고와 윤 대통령 탄핵 인용 시 치러질 조기 대선 날짜 중 어느 쪽이 빠를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단 겁니다.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를 두고도 야당은 최상목 대행이 헌정 질서를 파괴하고 있다며 임명을 압박했고, 단식 농성까지 나선 여당은 한덕수 총리 탄핵 심판 선고를 기다려야 한다며 임명 불가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여야는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원내대표 회동도 가졌지만 마 후보자 문제에는 입장 차만 확인한 채, 오는 6일 여야 협의체 회동을 기약했습니다.

연합뉴스TV 조한대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조한대(onepunch@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