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앵커]

매년 1,300만 명이 찾는 제주가 최근 중국인 강력 범죄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특히 관광 활성화를 위해 도입한 무사증 제도를 악용한 사례가 늘고 있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김나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4일 새벽.

검은 복장의 중국인 남성 두 명이 제주의 한 사찰 납골당에 들어와 유골함을 챙기더니 유유히 빠져나갑니다.

유골함을 인근 야산에 묻고 출국한 이들은 사찰 측에 한화로 약 28억 7천만원 상당의 돈을 보내라고 협박했습니다.

같은 날 제주시내 한 대형 호텔에선 30대 중국인 A씨가 흉기에 찔려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가상화폐 환전 거래를 미끼로 동포 A씨를 살해하고 8천5백만 원을 빼앗은 혐의로 30대 중국인 남녀 3명은 최근 경찰에 붙잡혀 구속됐습니다.

올 초 유독 중국인 강력 범죄가 기승을 부린 가운데, 최근 6년간 검거된 제주 외국인 범죄자의 70%가량이 중국인이었습니다.

최근 외국인 강력 범죄는 카지노 일대와 환전 거래 과정에서 집중되고 있습니다.

범행 대상도 과거 중국인 동포 위주에서 이젠 주민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비자 없이 입국하는 '무사증 제도'를 악용한 범죄가 잇따르며 관광 활성화와 치안 사이에서 양날의 검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법무부에 따르면 제주에 불법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은 지난해 6월 기준 1만1191명이었고 93%가 중국인입니다.

이들 상당수는 무사증으로 제주에 입국한 뒤 귀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제주경찰청이 조직 개편을 통해 외국인 범죄를 다루는 외사과를 폐지한 것도 외국인 범죄 악화의 한 요인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제주경찰청은 외국인 강력 범죄에 대해 구속 수사는 물론 출국 정지 조치 등을 적극 활용해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김나영입니다.

영상취재 서충원 영상편집 박은준 그래픽 김두태

#중국인 #범죄 #무사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나영(na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