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출연 : 김재천 서강대 교수>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백악관 충돌 사태 이후 종전 협상 불확실성이 매우 커졌습니다.

최대 압박을 가하는 미국을 겨냥해 우크라이나와 유럽은 수습책을 논의했고 러시아는 새로운 판을 짜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향후 국제정치 전망을 전문가와 짚어보죠.

김재천 서강대 교수 어서 오세요.

<질문 1>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백악관 회담 파국 사태 이후 각국에서 여러 움직임과 반응이 나왔죠. 특히 유럽이 뒷수습에 총력을 쏟는 모습인데요. 유럽 주요국 정상회의에서 정상들은 자체 평화 구상을 미국에 제안하기로 했습니다. 어떤 내용이고, 트럼프를 다시 중재 테이블로 끌어올 수 있을 거라 보십니까?

<질문 1-1>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일단 한 달간 전쟁을 중지하자고 공개 제안했습니다. 가능한 얘기일지요?

<질문 1-2> 트럼프와는 공개적으로 충돌했던 젤렌스키, 유럽에서는 따뜻한 환대를 받았습니다. 영국은 찰스 3세 국왕까지 나서서 젤렌스키를 만났는데요. 트럼프보다 먼저 접견한 것을 두고 영국이 '줄타기 외교'에 나섰다고 하던데요. 어떤 배경이 있는 겁니까?

<질문 2>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관계 개선 얘기를 본격적으로 해 보죠. 젤렌스키 대통령은 광물 협정에 서명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다시 만나 '진짜 문제'를 풀어가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이 요구한 '사과'에는 선을 그었습니다. 지금의 상황이라면 두 사람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질문 2-1> 일본 언론은 당시 젤렌스키 대통령이 영어로 직접 회담하지 않고 통역을 썼더라면 더 냉정하게 트럼프 대통령과 얘기를 나눴을 것이라고 지적했는데요. 어떻게 보세요?

<질문 3> 이런 가운데 미 백악관 안보 보좌관은 러시아와 협상을 해 전쟁을 끝낼 수 있는 우크라이나의 새로운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는데요. 트럼프 측이 자꾸 '우크라이나 정권 교체'를 거론한 건 최대 압박을 위한 미국의 전략이라고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4> 미국은 러시아와의 관계 재정립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러시아 내부에서는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미·러 간 '경제 협력' 뒷전으로 밀려날 거란 낙관론까지 부상하는데요. 양국 관계와 종전 전망 간 어떤 경우의 수가 있을까요?

<질문 5> 한편, 트럼프 대통령에 맞설수록 젤렌스키 대통령의 지지율은 상승세를 타고 있다고 하죠. 왜 그럴까요?

<질문 6> 그런데 젤렌스키 대통령 입장에선 미국의 지원 없이는

<질문 7> 우크라-백악관 충돌 사태를 우리 외교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트럼프의 미국은 전통적 관점에서의 동맹 외교에만 기댈 수는 없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인데요. 마음에 들지 않으면 판을 깨버릴 수 있는 트럼프의 협상 스타일에 맞춰, 우리 외교 어떠한 스탠스를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혜선(yousti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