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출연 :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
미 트럼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간 정상회담이 파국을 맞자 유럽은 발등에 당장 불이 떨어진 셈이 됐습니다.
사태 수습에 나선 유럽과는 달리 러시아는 반색하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현재 상황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와 얘기 나눠봅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거친 언사가 오갔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회담 어떻게 보셨습니까? 국제외교에서는 볼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는 평가가 많은 것 같은데요. 이후 전개될 파장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2> 유럽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행으로, 자칫 미국 없이 유럽의 안보를 책임져야 한다는 압박감이 커진 건데요. 유럽 정상들이 모여 긴급 안보 회담을 열기로 했습니다. 어떤 내용들 나올까요?
<질문 3> 미국이 발을 뺀다면 유럽이 지금과 같은 수준의 우크라이나 지원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인데요. 이런 가운데 이탈리아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유일하게 참석했던 유럽 정상인 만큼, 중재에 나서줄 것을 다시 설득할 수 있을까요?
<질문 4> 유럽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트럼프를 다시 설득하길 바라고, 젤렌스키는 유럽의 지속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는데요. 유럽은 미국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하고도 있습니다. 사태 수습의 책임, 누구에게 있다고 보세요?
<질문 5> 러시아는 "젤렌스키의 미국 방문이 완전히 실패로 끝났다"고 평가하며 속내를 숨기지 않았습니다. "전쟁 시작 이후 그 어떤 군사작전보다 커다란 승리"라는 보도도 나왔는데요. 우크라이나를 향한 압박 수위도 높이고 있어요?
<질문 6> 미국과 러시아 간 관계는 전보다 밀착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러시아를 겨냥했던 미국의 사이버 작전에 중지 명령이 내려졌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미·러 정상회담의 향배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7> 한편, 북한 노동당 대표단이 푸틴 대통령과 면담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체제 안전보장과 지원을 파병 대가로 요청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추측인데요?
<질문 8>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미 해군의 항공모함이 부산에 입항했습니다. 이번 달 한미일 해상 훈련에 참여하기 위함인데요. 최근 북한이 전략 순항미사일 발사로 무력시위를 한 부분과도 연관돼 있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경재(parkpd@yna.co.kr)
미 트럼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간 정상회담이 파국을 맞자 유럽은 발등에 당장 불이 떨어진 셈이 됐습니다.
사태 수습에 나선 유럽과는 달리 러시아는 반색하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ADVERTISEMENT
현재 상황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와 얘기 나눠봅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거친 언사가 오갔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회담 어떻게 보셨습니까? 국제외교에서는 볼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는 평가가 많은 것 같은데요. 이후 전개될 파장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2> 유럽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행으로, 자칫 미국 없이 유럽의 안보를 책임져야 한다는 압박감이 커진 건데요. 유럽 정상들이 모여 긴급 안보 회담을 열기로 했습니다. 어떤 내용들 나올까요?
<질문 3> 미국이 발을 뺀다면 유럽이 지금과 같은 수준의 우크라이나 지원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인데요. 이런 가운데 이탈리아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유일하게 참석했던 유럽 정상인 만큼, 중재에 나서줄 것을 다시 설득할 수 있을까요?
<질문 4> 유럽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트럼프를 다시 설득하길 바라고, 젤렌스키는 유럽의 지속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는데요. 유럽은 미국에 대한 실망감을 표현하고도 있습니다. 사태 수습의 책임, 누구에게 있다고 보세요?
<질문 5> 러시아는 "젤렌스키의 미국 방문이 완전히 실패로 끝났다"고 평가하며 속내를 숨기지 않았습니다. "전쟁 시작 이후 그 어떤 군사작전보다 커다란 승리"라는 보도도 나왔는데요. 우크라이나를 향한 압박 수위도 높이고 있어요?
<질문 6> 미국과 러시아 간 관계는 전보다 밀착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러시아를 겨냥했던 미국의 사이버 작전에 중지 명령이 내려졌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미·러 정상회담의 향배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7> 한편, 북한 노동당 대표단이 푸틴 대통령과 면담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체제 안전보장과 지원을 파병 대가로 요청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추측인데요?
<질문 8>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미 해군의 항공모함이 부산에 입항했습니다. 이번 달 한미일 해상 훈련에 참여하기 위함인데요. 최근 북한이 전략 순항미사일 발사로 무력시위를 한 부분과도 연관돼 있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경재(parkpd@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세계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