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사용 급증 '자가진단키트'…목에 해야 정확하다?
[앵커]
요즘 자가검사키트 사용이 늘다보니 검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도 많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특히 키트 면봉을 코가 아닌 목에 넣어 검체를 채취해야한다는 주장이 확산하고 있는데요.
맞는 말일까요? 정인용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증상이 있는데도 자가키트 검사에서 계속 음성이 나온다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입니다.
잠복기를 의심하기도 하고, 답글에는 목 안쪽도 검사해보라는 조언도 달립니다.
또 다른 커뮤니티의 게시물에도 목구멍에 키트 면봉을 넣어야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는 내용이 잇따라 올라오는 등 관련 주장이 곳곳에서 확산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코로 했을 때 음성이 나와서 '아닌가보다' 하고 있었는데 다음날도 증상이 더 악화돼서 혹시나 해서 목을 긁어봤더니 (자가검사키트가) 양성이 나와서 그 이후에 PCR 양성이…"
전문가들은 감염 시기 차이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라고 말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감염 초기 목구멍에서 시작돼 콧속으로 옮겨가는 양상을 띠어, 증상 초기 목에서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홍기호 /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목구멍부터 증식이 시작돼요. (이후) 바이러스 양이 많아지니까 넘쳐나면서 콧구멍이나 침에서도 나오게 되는 거고 콧구멍에서 나오는 게 하루정도 늦어요."
다만, 대체적으로 자가키트 면봉 길이가 짧아 부러질 경우 자칫 목으로 넘어가거나 다칠 위험이 있어 목 검사를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습니다.
자가 검사결과를 믿기 어려울 땐, 병원에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 (quotejeong@yna.co.kr)
#자가검사키트 #가짜 음성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요즘 자가검사키트 사용이 늘다보니 검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도 많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특히 키트 면봉을 코가 아닌 목에 넣어 검체를 채취해야한다는 주장이 확산하고 있는데요.
맞는 말일까요? 정인용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증상이 있는데도 자가키트 검사에서 계속 음성이 나온다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입니다.
잠복기를 의심하기도 하고, 답글에는 목 안쪽도 검사해보라는 조언도 달립니다.
또 다른 커뮤니티의 게시물에도 목구멍에 키트 면봉을 넣어야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는 내용이 잇따라 올라오는 등 관련 주장이 곳곳에서 확산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코로 했을 때 음성이 나와서 '아닌가보다' 하고 있었는데 다음날도 증상이 더 악화돼서 혹시나 해서 목을 긁어봤더니 (자가검사키트가) 양성이 나와서 그 이후에 PCR 양성이…"
전문가들은 감염 시기 차이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라고 말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감염 초기 목구멍에서 시작돼 콧속으로 옮겨가는 양상을 띠어, 증상 초기 목에서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홍기호 /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목구멍부터 증식이 시작돼요. (이후) 바이러스 양이 많아지니까 넘쳐나면서 콧구멍이나 침에서도 나오게 되는 거고 콧구멍에서 나오는 게 하루정도 늦어요."
다만, 대체적으로 자가키트 면봉 길이가 짧아 부러질 경우 자칫 목으로 넘어가거나 다칠 위험이 있어 목 검사를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습니다.
자가 검사결과를 믿기 어려울 땐, 병원에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 (quotejeong@yna.co.kr)
#자가검사키트 #가짜 음성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2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사회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