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양국 재무 당국이 환율 문제를 별도 논의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을 두고 "나쁘지 않은 뉴스"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현지시간 25일 워싱턴 DC 인근 한 식당에서 기자 간담회를 하고 "환율 문제를 얘기해야 한다면, 재무부와 별도로 하는 게 낫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ADVERTISEMENT
그는 "환율은 정치화되기 쉬운 문제고, 경제학자가 아니면 환율의 속성을 잘 알기 어렵다"며 "얼마나 절하됐는지만 보고 통상에 미치는 영향만 생각해 문제 삼으면 협상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미 재무부는 우리 기획재정부처럼 환율 관련 전문가 집단"이라며 "이해도가 높은 양측이 협의하면 훨씬 더 전문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환율은 대내·외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고차 방정식'의 결과인 만큼, 양국 재무 당국이 통상 문제와 별개로 논의하는 것이 향후 협의를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앞서 정부는 '한미 2+2 통상 협의' 결과 90일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기 전에 7월 8일까지는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한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는 데 양국의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습니다.
향후 중점 논의 대상을 ▲ 관세·비관세조치 ▲ 경제안보 ▲ 투자협력 ▲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로 정했으며, 이 중 환율 정책은 기재부와 재무부 간 별도 논의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총재는 "협의의 큰 틀이 논의된 것과 불확실성이 줄어든 것은 긍정적으로 본다"면서도 "다만 협의라는 것은 가다가 멈추어 설 수도 있는 만큼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총재는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2%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 "예상 범위에 있던 수치지만, 그중에서도 좀 나쁜 쪽"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1분기 역성장으로 연간 성장률 전망도 기존(1.5%)보다 낮아질 것"이라면서도 "불확실성이 워낙 큰 상황이라 미래를 지금 얘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현재 한국 경제 상황을 '어두운 터널'에 비유하면서,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총재는 "앞이 잘 보이지 않는 어두운 터널에서 상황에서 무조건 빨리만 갈 수는 없다"며 "경제 전반에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눈이 어둠에 익숙해지기를 기다리면서 천천히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물가가 안정세인 만큼 이자율(금리)은 낮아지는 추세"라며 "스피드를 조정할 뿐, 안 낮춘다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창용 #환율 #한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경제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