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을 켜다!' [금융ON]은 금융권 소식을 쉽게 풀어주는 코너입니다. 매일 쏟아지는 금융 뉴스 속에서 꼭 알아야 할 정보만 콕 집어 ON! 트렌드도 ON!

퇴직연금 시장이 430조원 규모로 커진 가운데, 최근 은행과 증권사의 적립금이 빠르게 증가한 반면 보험업권만 유일하게 적립금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퇴직연금 실물 이전 제도 시행과 수익률 중심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업권 간 희비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연합뉴스TV 제공][연합뉴스TV 제공]


◇ 430조원 시장…은행·증권 ‘쑥’·보험 ‘주춤’

금융감독원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전체 퇴직연금 적립금(회사별 확정급여형 DB, 확정기여형 DC, 개인형 퇴직연금 IRP)은 432조9,843억원에 달했습니다.

국내 12개 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 총액은 올해 1분기 말 228조9,986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3조2,302억원 증가했고, 국내 14개 증권사의 퇴직연금 총액은 같은 기간 3조6,931억원 급증하며 107조6,188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국내 16개 생명·손해보험사의 퇴직연금 적립금 총액은 96조3,639억원으로 지난해 말(97조4,975억원)에 비해 1조원가량 줄며 유일하게 줄었습니다.

보험업권 부진의 원인으로는 낮은 수익률과 상품 라인업 한계가 꼽힙니다.

은행·증권은 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 등 다양한 비보장 상품으로 공격적인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 있지만, 보험사는 원리금 보장 중심의 보수적 운용에 머물러 있습니다.

또 암보험 같은 장기 보장성 보험 판매에 집중한 전략도 퇴직연금 사업 소극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지난해 보험업계의 보장성보험 수입보험료는 13.1% 늘어난 반면, 퇴직연금 보험료는 26.2% 급감했습니다.

여의도 증권가[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 증권사, IRP 중심 급성장…공격적 운용 전략

증권업계는 IRP(개인형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를 중심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IRP는 개인이 투자금 납입과 자산 관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증권업계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가장 큰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1분기 말 적립금이 30조5천억원을 넘어서며, 은행·보험을 포함한 전체 퇴직연금 사업자 중 5위에 올랐습니다.

특히 IRP 적립금만 1조1천억원 넘게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0월 말부터 시행된 퇴직연금 실물 이전 서비스 이후 증권업권은 3개월 만에 은행으로부터 4,109억원의 자금을 흡수하기도 했습니다.

퇴직연금 실물 이전제는 기존 운용 중인 상품을 현금화하지 않고 다른 금융기관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제도로, 투자 연속성과 편리성이 높습니다.

증권사 전반적으로 고위험·고수익 선호 고객층을 겨냥한 자산운용 전략이 유입을 끌어낸 것으로 보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자산배분 중심의 장기 포트폴리오 제공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ETF 상품 비중을 확대했습니다.

삼성증권은 연금센터를 신설해 숙련된 PB 인력의 연금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며,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등도 퇴직연금 조직 확대 개편과 센터 신설 등으로 고객 유치에 나섰습니다.

[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 은행도 정면승부…IRP 중심 고객 확보

퇴직연금 시장은 구조적 성장이 담보되므로 은행이 비이자수익을 안정적으로 늘릴 수 있는 사업으로 꼽힙니다.

이 때문에 은행권도 IRP를 중심으로 한 전략을 강화하며 증권사에 맞불을 놓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은 1분기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이 46조4천억원으로 은행권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은 지난 1월 ETF 라인업을 190개까지 확대하고, 비대면 플랫폼 ‘나의 퇴직연금’을 전면 개편했습니다.

신한은행과 각축전을 벌이는 국민은행은 적극적으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연금사업본부를 독립 조직으로 전환했습니다.

하나은행은 투자자 성향별로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 개인형IRP 적립금을 운용해주는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서비스’를 금융권 최초로 도입했습니다.

은행들은 넓은 영업망과 AI를 활용한 IRP 운용으로 경쟁력 강화에 나선 모양새입니다.

퇴직연금 '머니무브' 시동[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 IRP 수익률 흔들…수익률 떨어져도 경쟁은 더 치열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며 1분기 퇴직연금 수익률은 큰 폭의 하락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최근 수요가 많은 IRP 원리금비보장형 수익률은 은행권에서 5~6%포인트(p), 상대적으로 고위험 상품이 많은 증권사에서는 7~9%p가량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주식형 펀드와 ETF 수익률이 급감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수익률 비교가 가능해진 퇴직연금 실물 이전제 시행 이후, 가입자들은 수익률을 중심으로 사업자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되면서 업권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실물 이전으로 퇴직연금 자산 이동이 쉬워진 지금, 누가 더 안정적이면서도 수익률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느냐가 경쟁의 핵심입니다.

업권별 전략 차별화가 장기 성장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퇴직연금 #은행 #증권 #보험 #실물이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형섭(yhs93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