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하반기 매장에서 일하는 판매 직원과 건설업 종사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보면 지난해 하반기(10월) 기준 163개 소분류 직업군 중 매장판매 종사자는 150만7천명(5.2%)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ADVERTISEMENT



작물재배종사자는 134만3천명(4.7%)으로 뒤를 이었고 청소 관련 종사자는 124만9천명(4.3%)으로 세 번째로 많았습니다.

다만 매장판매 종사자의 경우 1년 전보다 10만명 줄어들어 감소 폭이 가장 컸습니다.

건설·광업 단순종사자도 6만1천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내수 부진이 길어지고 건설업 불황 등이 계속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최근 각 매장에서 직원 고용 대신 키오스크 보급을 확대하는 등 서비스업 무인화도 중장기적으로 도소매업 취업자를 줄이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청소 관련 종사자는 4만6천명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고, 전기·전자공학기술자·시험원(+4만3천명)이 뒤를 이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과 30∼49세는 매장판매 종사자가 각각 7.7%, 4.4%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50세 이상에서는 '작물재배 종사자'(9.2%)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종사상지위에 따른 9개 직업 대분류 구성비를 보면 상용근로자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30.1%로 가장 많았고 사무종사자(27.0%),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11.3%)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임시·일용 근로자의 경우 단순노무 종사자가 40.8%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 종사자(17.9%), 판매종사자(11.2%) 등 순이었습니다.

비임금 근로자는 농림·어업숙련 종사자(22.3%), 서비스종사자(15.6%), 판매종사자(15.4%) 등 순으로 많았습니다.

234개 산업 소분류별 취업자를 보면 음식점업이 166만2천명(5.8%)으로 가장 많았고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159만4천명·5.5%), 작물재배업(140만7천명·4.9%)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취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8만8천명)이었습니다.

건물건설업 취업자는 8만6천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습니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취업자는 2,884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8만3천명 증가했습니다.

#취업자 #직원 #건설업 #내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