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바다 수온이 지구 평균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상승해 해양생태계와 수산업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는 보고서가 발간됐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이 최근 발간한 '2025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브리핑 북'에 따르면 최근 57년간(1968~2024년) 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도 상승했으나, 우리나라 해역은 1.58도 상승 2배 이상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ADVERTISEMENT
특히 동해의 표층 수온 상승 폭(2.04도)이 가장 컸습니다.
이는 최근 동해로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 세력 강화와 여름철 지속적인 폭염 증가로 인한 해수면 부근의 성층 강화(해수의 수직 혼합이 약화하는 현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해양의 기초생산력을 나타내는 '클로로필-a' 농도는 2003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특히 서해와 동해 중부 해역에서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습니다.

2024년 기준 기초생산력은 전년 대비 21.6% 감소해 우리 바다의 생태계 생산성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역대급 고수온 현상이 발생한 지난해에는 9월 하순까지 이어진 고수온 현상으로 1천430억원 규모의 양식생물 피해가 발생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이후 최대 피해액을 기록했습니다.
연근해 어업생산량도 1980년대 151만t에서 작년에는 84.1만t까지 감소해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업의 영향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고휘훈(take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지역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