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자생한방병원 제공][챗GPT, 자생한방병원 제공]


보험업계가 지속적으로 MRI 등을 활용한 한의치료를 과잉 진료로 간주하는 것은 한방 치료의 만족도와 효과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오늘(23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국민 대상 한방 의료 이용 만족도는 2020년 74.5%, 2022년 76.6%에서 지난해 79.5%로 증가했습니다.

ADVERTISEMENT



한방의료를 선택한 이유로는 ‘치료 효과가 좋아서(42.5%)’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외래환자 2명 중 1명은 ‘동일한 증상으로 한·양방 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교통사고 환자에 있어 한의치료 만족도는 더 높았습니다.

지난 2021년 8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서 실시한 ‘교통사고 후 한의치료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에서 응답자의 91.5%가 한의의료서비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했고, 43.4%는 의과치료 대비 한의과 치료 효과가 더 높다고 답했습니다.

자생한방병원은 "한방병원들이 MRI 촬영을 강권한다는 낭설과는 달리 일정기간 염좌치료 시행 후 호전되지 않은 경우에 한해서만 MRI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MRI 활용을 통한 치료 후 잔재된 증상은 건강보험으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권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한 보험사의 지난해 경상환자 MRI 청구 건수 중 상위 10개 한방병원 검사 건수(총 9,117건)가 47개 상급종합병원(양방) 경상환자 MRI 검사 건수(330건)의 27.6배에 달한다는 보도와 관련해, 자생한방병원은 "보험업계의 편향된 수치"라고 주장했습니다.

한방병원과 일부 상급종합병원의 MRI 건수를 비교한 것 자체가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섭니다.

경상 환자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을 찾을 일이 거의 없고, 단순 자동차 사고 환자 수도 상급종합병원은 2023년 기준 4만7,007명으로 한방병원(75만6,965명) 대비 10%에도 못 미칩니다.

반면 2023년 교통사고 환자에게 MRI 등 특수의료장비를 적용한 비율을 보면 상급종합병원은 8.16%, 한방병원은 2.64%로, 상급종합병원이 한방병원에 비해 3~4배 가량 높았습니다.

자생한방병원은 "보험사들이 주기적으로 자동차보험 관련 MRI 활용 치료를 과잉진료로 몰거나 치료기간이 조금이라도 길어질 만 하면 환자들을 '나이롱' 환자 취급 하곤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자동차보험에서는 한의 진료에 만족한 다수의 환자가 한의 의료기관을 선택해 관련 진료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를 한방병원들이 과잉진료를 이어가는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자동차 사고 피해자의 진료 자유를 방해하는 행위로 환자들의 진료권을 침해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자생한방병원 #한방진료 #한의치료 #교통사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