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우리나라 성인의 절반 이상이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보유한 경험이 있고, 그중 20%는 거래소 장애 등 가상자산 관련 피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서울·경기 지역과 6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19∼69세 성인 남녀 2,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같은 내용의 설문 조사 결과를 오늘(22일) 공개했습니다.

ADVERTISEMENT



이 조사에서 '과거 가상자산을 보유했거나 현재 갖고 있다'고 답한 이들은 54.7%로 집계됐습니다.

복수 답변 기준으로 가상자산 보유 목적은 '투자'(69.9%)가 가장 많았고, '가상 자산에 대한 호기심'(42.1%), '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한 수단'(14.0%), '화폐를 대신하는 거래 수단'(13.7%) 의견이 뒤를 이었습니다.

가상자산으로 수익을 얻었다는 답변은 51.6%에 달했는데, 투자 금액 1천만원 미만이 58.7%, 예상 투자 기간 1년 미만이 60.8%로 단기 소액 투자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아울러 가상 자산과 관련한 피해를 겪었다는 답변율은 20.3%로 나타났습니다.

복수 답변 기준으로 분석 시 전산장애, 해킹 등 거래소 관련 문제가 72.8%로 가장 높았습니다.

거짓 투자 정보로 사람을 꾀는 '리딩방' 피해와, 엉터리 암호화폐나 불법 거래소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투자 사기' 유형도 각각 44.7%와 35.5%의 답변율을 보였습니다.

피해 금액은 1천만원 미만이 75.1%로 가장 많았습니다.

소액 피해가 많다 보니 '피해를 겪은 뒤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답변이 67.7%에 달했습니다.

한편, 현재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이들은 평균 3종 이상의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비트코인(76.0%)과 이더리움(52.8%) 투자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시행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항목에서는 현재 암호화폐 투자자 중 절반(50%)이 이 법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SNS를 통해 확산하는 암호화폐 허위 정보에 대한 경고도 많았던 만큼 이런 정보에 현혹돼 급히 투자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가상자산 #코인 #암호화폐 #투자사기 #주식피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