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제공][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정부가 올해 4~6월과 9~10월 농번기에 농업 분야 인력 700만명을 지원하고, 주요 품목 주산지 등에서는 매주 인력 수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늘(2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농번기 인력 지원대책'을 발표했습니다.

ADVERTISEMENT



농식품부는 외국인 계절근로와 내국인 농촌인력중개·일손 돕기로 각각 400만명, 300만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농협이 인력을 운영하면서 농가에 하루 단위로 인력을 공급해주는 공공형 계절근로도 90곳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외국인 근로자 근로 여건 개선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농업 근로자 기숙사를 30곳 건립할 예정이며, 계절근로자 전용 농작업근로자 안전보험 가입을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농식품부는 법무부, 지자체와 협력해 외국인근로자 인권침해 예방을 위한 농장주 교육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이외에도 사고 및 질병 방생 농가에 농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 중인 영농도우미 지원을 76억원으로 확대합니다.

농식품부는 농번기 인력 수요가 많은 사과와 복숭아 등 10개 품목 주산지를 비롯한 32개 시군에서 농번기에 매주 인력 수급과 인건비 동향을 모니터링합니다.

인력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면 지자체와 농협, 법무부 등이 참여하는 관계 기관 인력수급 상황 회의를 열어 문제에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이날 송미령 농식품장관은 전북 진안군의 계절근로 현장을 찾아 농업 인력 동향을 살피고 "농업인 지자체와 함께 농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 여건 개선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농번기 #인력 #수급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준하(jju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