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입장을 바꾼 이유가 미 국채 금리의 불안정 때문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트럼프의 개인 금융자산에서 채권 비중이 60%나 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해 기준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채권 비율이 60%에 달한 반면 주식 투자 비율은 10% 미만이었다고 보도했습니다.
ADVERTISEMENT
또 채권에는 최소 가치를, 주식에는 최대 가치를 적용하는 보수적 추정치를 사용해도 트럼프미디어를 제외하면 채권이 주식보다 2배 많은 셈이라고 지적했습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이 관세 유예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그가 각계의 압박과 주식시장 폭락에도 꿈쩍하지 않다가 채권 시장이 패닉 움직임에 빠지자 움직였다고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후 이유를 묻는 말에 채권 시장을 언급하며 "사람들이 불안해 하더라"고 말했습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재산 가치가 위태해지 행동에 나섰을 수 있다며 그가 자기 재산을 백지위임하지 않아 윤리적 문제가 부각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성호(sisyph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세계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