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퇴임 후 처음으로 공개석상에서 후임자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현지시간 15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전 대통령은 이날 시카고의 장애인단체 행사에 참석해 "(트럼프 행정부가) 100일도 안 되는 기간에 엄청난 피해와 파괴를 야기했다"고 지적했습니다.
ADVERTISEMENT
특히 은퇴자와 산재 피해자, 저소득 가구 등 7,300만 명에게 연금과 사회보장 혜택을 제공하는 사회보장국(SSA)을 언급하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SSA에 도끼를 내리쳤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사회보장제도는 국가의 신성한 약속"이라며 "사회보장이 국민의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 모두 알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SA가 지급하는 사회보장급여는 매년 1조4 천억달러(약 1,998조 원)에 달합니다.
미국 사회보장제도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이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수장을 맡은 정부효율부(DOGE)는 예산 낭비의 주범 중 하나로 SSA를 지목하고 최소 7천명의 SSA 인력 감축과 일부 사무소 폐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머스크는 사회보장제도를 다단계금융사기인 '폰지사기'로 규정하기도 했습니다.
머스크의 이런 발언에 대해서도 바이든 전 대통령은 "무슨 헛소리를 하는 건가.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 혜택을 받는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트럼프 대통령 비판에 나선 데 대해 민주당 내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됐습니다.
중국과의 무역 전쟁과 무리한 관세 정책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역풍을 맞는 상황에서 대중적 인기를 잃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등장이 여론의 흐름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고령 논란으로 재선 도전을 포기한 바이든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퇴임 당시 지지율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대통령 중 최저 수준인 38%에 불과했습니다.
이에 대해 역사학자 티머시 내프탤리는 "바이든이 조용히 사라지기를 바라는 민주당원들의 입장도 이해가 간다"면서도 "바이든이 사회보장에 대해 발언한 것은 그의 나이 때문에 오히려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바이든 #SSA #트럼프 비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jus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세계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