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K텔레콤이 경찰청과 협력해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총 2,610건의 악성앱을 발견하고 차단 조치했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약 1,070억 원의 피해를 예방했다는 게 SK텔레콤의 설명입니다.

ADVERTISEMENT



이번 악성앱 차단 협력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됐습니다.

먼저 SKT는 1차적으로 보이스피싱 악성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모델 기반 분석을 통해 악성앱 유포 링크가 포함된 스미싱 문자를 차단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공받은 악성 도메인과 IP를 추적해 차단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이후 SKT가 경찰청의 영장 집행을 통해 AI 모델 기반의 분석을 통한 악성앱 설치 가능성이 있는 고객군을 추출하고 데이터를 경찰청에 제공하면, 경찰청은 출동 경찰관이 직접 악성앱이 설치된 피해자들을 일일이 찾아가 악성앱을 직접 삭제, 조치해 피해를 줄였습니다.

한편, SKT는 지난해 7월부터 서비스 이용 동의를 받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끼 문자 AI탐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까지 누적 약 9,700건의 미끼 문자를 탐지하여 고객 피해를 예방했습니다.

곽병일 경찰청 마약조직범죄수사과장은 “최근 카드 배송 사칭 피싱 시나리오가 등장하는 등 보이스피싱 조직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수법을 시도하고 있어 모르는 링크에 접속하거나 수상한 앱은 절대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손영규 SKT 정보보호실장은 “SKT는 경찰청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악성앱 설치로 인해 피해를 보는 고객이 줄어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SKT #경찰청 #악성앱 #피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