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 장관은 중국과 유럽연합(EU) 등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보복관세로 대응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대미 통상 전략에서 보복보다는 협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 장관은 오늘(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보복관세 형태로 대응하는 경우, 한국처럼 무역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자해성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며 이 부분에 산업계도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안 장관은 상호관세와 관련한 대미협상과 관련해선 트럼프 행정부가 큰 관심을 보인 조선분야가 굉장히 중요한 협상 카드라고 강조했습니다.
안 장관은 "미국의 경우 조선 산업 역량이 2차 대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왔기 때문에 한국이 갖춘 조선 기술과 제조 역량에 대해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며 "안보 측면에서도 돈독한 동맹 관계를 강화하고 있어서 (미국에) 굉장히 큰 신뢰를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회의에서는 미국이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상황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유지할 필요가 있느냐는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 질의도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안 장관은 자동차를 예로 들며 "한국은 FTA 때문에 관세 베이스가 '0'이어서 25% 관세만 내고 들어가지만, 경쟁국인 일본과 유럽연합(EU)은 27.5% 관세를 맞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가 그동안 대미 무역 흑자를 성과로 강조한 것이 오히려 미국 측의 관세 부과 빌미를 준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일본이 맞은 관세는 24%로, 우리보다 1% 낮지만 일본의 경우 수출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무역 의존도가 40%가 안 된다"며 "한국은 일본과 산업구조도 다르고, 전체 산업 기반이 수출 위주인 상황"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안 장관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 이후 미국 측에서 긍정적인 시그널이 나오고 있다며, 조만간 그도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