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3대 채권 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에 한국이 편입을 확정했지만, 편입 시작 시점은 내년 3~4월로 연기됐습니다.
오늘(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한국의 WGBI 편입 시작 시점을 당초 예정된 11월에서 내년 3~4월로 변경했습니다.
ADVERTISEMENT
우리나라는 원래 계획대로라면 올해 11월 WGBI에 편입을 시작해 1년간 분기별로 편입 비중이 확대될 예정이었습니다.
다만 편입 완료 시기는 시작 시점의 조정 여부와 관계 없이 내년 11월로 동일합니다.
편입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빈도를 분기별이 아닌 월별로 조정해, 계획된 시점에 편입을 마칠 전망입니다.
기재부는 이러한 편입 시점 변경이 채권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일본 투자자들의 투자 환경 개선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투자자들에게 관련 절차 개선을 위한 충분한 준비 시간을 주는 것이 편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제도 안착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분기보다 월별로 편입 비중을 확대해야 투자 포트폴리오를 더 수월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고 덧붙였습니다.
김재환 기재부 국제금융국장은 "편입 개시 시점은 투자자 의견을 반영해서 결정한다"라며 "일본은 국채를 주문하려면 우리와 달리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테스트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의견을 일본 투자자들이 제시했다"라고 말했습니다.
편입 시작 시점이 연기되면서 당초 기대했던 선진국 자금 유입, 자금 조달비용 절감, 달러화 유입에 따른 고환율 기조 완화 등 편입 기대효과도 미뤄지게 됐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WGBI 편입으로 최소 560억 달러(약 75조원)의 자금이 우리 국채 시장에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습니다.
최근 한국의 대내외 불확실성이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도 나오는데, 지금까지 WGBI 편입이 결정된 뒤 편입 시점이 미뤄진 사례는 전무합니다.
단, 정부 측은 FTSE 러셀 측이 정부에 제도 개선을 추가로 요청하지 않았고 오히려 시장과의 소통, 확고한 개방 의지 등을 높이 평가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김재환 기재부 국장은 "정치적 불확실성이나 국채 시장 자체의 문제였다면 편입 시기 조정이 아닌 편입 완료 시점 연기 등 다른 옵션을 택했을 것"이라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편입 시점 연기에 미쳤을 가능성은 0%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세계국채지수 #WGBI #FTSE러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경제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