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4곳은 한국전력공사의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따라 자가발전, 전력도매시장에서 직접구매 등 새로운 전력 조달방식을 시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전기요금과 전력 시스템에 대한 기업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더 저렴한 전력 조달 방식을 시도하겠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기업은 11.7%로 집계됐습니다.
ADVERTISEMENT
지금은 아니지만 요금이 더 오를 경우 시도하겠다는 기업은 27.7%로, 향후 새로운 전력 조달 방식을 시도할 의향이 있는 제조기업은 전체기업의 39.4%로 조사됐습니다.
이같은 결과는 산업용 전기요금의 지속 인상으로, 자가 발전소를 세우거나 전력도매시장에서 전력시장가격(SMP)로 전기를 구매하는 게 더 저렴한 상황이 됐기 때문이라는 게 대한상의의 분석입니다.
지난 2000년 이후 전기요금 인상 추이를 보면 주택용 요금이 42% 오르는 동안 산업용 요금은 227% 인상됐습니다.
지난해 12월까지 총 24차례 단행된 인상에서 산업용 위주(19차례)로 요금이 오르며, 2023년에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주택용 전기요금을 역전했습니다.
전체 용도별 요금 중에서도 산업용 전기요금이 가장 높았습니다.
현재 산업용 전기요금 수준이 회사에 큰 부담이 된다는 응답은 78.7%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 46.4%는 경영활동이 위축될 정도로 부담이 매우 크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전기요금 인상으로 조사 기업의 79.7%가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에 산업용 전기요금의 바람직한 조정 방향으로는 파급 영향을 고려해 추가 인상에 최대한 신중해야 한다(46.3%)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산업용전기요금 #대한상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경제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