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송하준 교수 연구팀은 인공위성 관측자료를 활용해 지난 40년 동안 해양의 회복력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80년대 해수면 온도가 원래 상태로 회복하는데 평균 10일 내외가 걸렸지만 2020년대에는 20일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일반적으로 바다는 온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원래 상태로 회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40여년간 바람의 세기가 증가하면서 해양 혼합층이 깊어져 해수면 온도의 회복을 더디게 만들었습니다.
또, 바다 상층부의 온도 상승이 성층현상(따뜻하고 가벼운 해수가 표층을 이루고, 차고 무거운 해수가 저층에 있는 현상)을 강화해 열기가 해양 내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어렵게 했습니다.
연구팀은 해류 및 해양 내부 순환과 같은 외부 요인의 약화도 회복력 둔화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추론했습니다.
바다 상층부의 온도가 천천히 식고 있다는 건 해양이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초과 열을 과거보다 잘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같습니다.
송하준 연세대 교수는 "표층 해양(바다 표면과 가까운 해수)의 회복력 둔화는 해양 생태계에 더 큰 열적 스트레스를 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상 고수온 현상(해양 열파) 등으로 생태계가 극단적인 온도에 노출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기상·기후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됐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혁(dhkim100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