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00:00
00:00
2월은 졸업식과 밸런타인 데이가 있어 꽃 수요가 높은 시기에 속합니다.
하지만 입춘 한파와 소비 위축 등으로 화훼농가들이 모처럼의 특수를 기대하긴 어렵다고 하는데요.
하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김해의 한 화훼농가.
꽃바구니와 화환에 주로 들어가는 '거베라'가 비닐하우스를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그런데 줄기와 잎이 붉게 변했거나 시들시들한 꽃들이 꽤 많이 보입니다.
겨울동안 이어진 한파로 냉해를 입은 겁니다.
냉해를 입은 꽃들은 크기가 작고 모양이 고르지 못해 상품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꽃을 피우려면 시설 내 온도를 영상 18~20도 수준으로 맞춰야 하는데 한파 탓에 온풍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겁니다.
작황은 좋지 못한데 난방비 부담은 훨씬 커졌습니다.
900평 규모 비닐하우스 기준, 달에 350만~400만 원 정도였던 난방비가 올해는 500만 원 수준으로 30%가량 뛴 겁니다.
<화훼 재배 농민> "90% 이상 다 난방을 해도 그 온도에 못 미치는 거예요. 이게 저희가 20도에다가 설정을 해놓고 계속 난방이 돌아가는데 그 온도에 도달을 못 하는 거죠. 워낙 강추위다보니까…"
최근엔 수입산 생화가 대량으로 유통되면서 가격경쟁력도 밀리는 실정입니다.
국화와 카네이션은 80~90% 이상 수입이 늘었고, 한 단에 2만 원선이었던 안개꽃은 6천~7천 원 수준으로 폭락했습니다.
그런데 유통 과정에서 마진이 붙으면서 소비자들은 비싼 값에 꽃을 소비해야 하는 겁니다.
한 번 쓴 꽃을 중고거래를 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정윤재 / 김해 화훼작목회장> "(유통 과정에서 자꾸 증액을 시켜서) 결국 소비자 쪽에 가면 3천원짜리 꽃이, 예를 들어서 꽃집에 가면 1만 원 돼버립니다. / 중간 유통과정을 조금 손 볼 단계가…
난방비 부담과 불경기, 수입산 꽃 등의 영향으로 모처럼의 특수를 기대하기 어려워진 화훼농가들.
농민들은 일부 품목과 재해에 한정된 농작물 재해보험의 대상과 범위라도 확대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하준입니다.
[영상취재 김완기]
#화훼 #꽃 #냉해 #졸업식 #밸런타인데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하준(haj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