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방역 이유로 개인정보까지…中 건강코드 논란

세계

연합뉴스TV 방역 이유로 개인정보까지…中 건강코드 논란
  • 송고시간 2020-05-26 19:23:56
방역 이유로 개인정보까지…中 건강코드 논란

[앵커]

최근 우리 정부는 출입자 관리가 부실한 유흥시설의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 QR코드 기반의 전자출입명부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미 QR코드 활용이 상당 정도 정착된 중국에선 빅 브러더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방역과 직접 관련된 정보는 물론 더 많은 개인정보를 통합 관리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힌 게 발단이 됐습니다.

김효섭 PD입니다.

[리포터]

쇼핑, 대중교통 이용 그리고 등교까지…편리하다는 이유로 일상생활에 파고든 QR코드.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 정부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QR 코드를 활용했습니다.

중국 전역 100여개 도시 주민들은 각자 동선를 토대로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 여부 등의 정보가 수집됩니다.

특히 건강 상태에 따라 부여받는 색깔이 달라 이동금지 혹은 격리 대상 여부 등이 관리됩니다.

<후 이춘 / 이창시 빅데이터 관계자> "우선 QR코드가 녹색인지 보고, 사진을 대조해봅니다. 코드상 검문소 이름과 위치한 곳을 확인하고 시간까지 살핍니다."

더욱이 도입 초기 QR 건강 코드는 지역별로 달랐지만 최근 중국 정부는 전국 단위의 표준화까지 진행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항저우시는 기존 건강코드에 한층 더 민감한 내용까지 담는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최근 14일 내 코로나19 위험지역 방문 여부 외에 개인의 운동과 음주, 흡연, 수면 등의 정보도 앱을 통해 통합관리한다는 목표를 세운 겁니다.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것이라는 항저우 당국의 설명에도 온라인상에서는 사생활을 침해한다는 불만이 잇따르는 등 빅 브러더 사회의 현실화에 대한 염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