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대선에서 한반도 이슈는 표심을 가르는 핵심 사안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관여 정책을 주요 외교적 업적으로 내세우면서 이번엔 다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톱다운 방식의 대북 접근법이 계속 유지될 지도 관심입니다.
워싱턴 백나리 특파원 입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탄핵 추진'의 고비를 넘어 재선에 성공할 경우 이른바 '톱-다운 '방식의 대북 관여 정책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협상의 달인'을 자처하며 직접 손을 댄 만큼 북핵문제 해결을 자신의 주요 업적으로 삼으려 할 것이란 관측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나는 김정은을 좋아하고, 그도 나를 좋아합니다. 우리는 잘 지내고 있습니다. 나는 그를 존중하고 그도 나를 존중합니다."
민주당이 내년 대선에서 정권을 탈환하면 트럼프 대통령 개인에 좌우돼왔던 접근법에는 변화가 불가피 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대북관여 정책은 전통적으로 민주당의 접근법이었습니다.
<조 바이든 / 전 부통령> "나는 그(트럼프 대통령)와 동맹관계인 김정은이 내가 아마 대통령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돼 기쁩니다."
변수는 북한이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대미 압박의 수위를 높여 새판짜기를 시도할 가능성입니다.
이미 북한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했고, 대륙간탄도미사일 카드까지 내비치며 트럼프 대통령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김명길 / 대미 특별대표> "우리의 핵시험과 ICBM 시험 발사 중지가 계속 유지되는가 그렇지 않으면 되살리는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미국 입장에 달려있습니다."
북한의 압박 행보와 대선용 외교 성과가 필요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맞물릴 경우 대선 전 일정한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미국 대선 결과는 한미 관계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할 경우 '신 고립주의 기조'가 강화되면서 방위비 분담금 압박은 물론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동참하라는 요구가 커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 백나리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