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의 92%는 사망 전 자신의 심경을 드러내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런 신호를 가족의 21%만이 알아차렸습니다.
전문가들은 주변과 사회의 이해가 깊어져야 스스로 세상을 떠나는 일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죽고 싶다'는 말, 주변을 정리하는 것, 우울과 불안.
스스로 생을 마감한 사람 10명 중 9명은 생전에 이 같은 심경의 변화, 즉 '신호'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3년간 스스로 목숨을 끊은 289명 사례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사망자의 92%가 사망 전 죽음에 대한 말을 자주 하거나 과다수면, 불면 등 수면상태의 변화, 무기력감과 같은 감정상태의 변화를 통해 신호를 보냈습니다.
하지만 유가족의 불과 21%만이 이 같은 신호를 알아차렸습니다.
유가족이 신호를 인지했어도 어떻게 대응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백종우 /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자살은) 절대 이 분들(유가족들)의 책임이 아닙니다. 우리 사회가 유가족들에게 또 많은 국민들에게 자살의 경고신호가 뭔지 알려드린 바가 없습니다…우리 사회가 유가족 분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사망자의 스트레스 요인은 정신적 문제가 가장 많았고 가족관계, 경제적 문제, 직업 문제가 뒤를 이었습니다.
주요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청년기의 경우 연애관계, 학업스트레스로 나타나는 등 나이대별로 차이가 있었습니다.
유가족의 80%는 사별 후 우울감을 느꼈으며 유가족의 자살률은 일반인에 비해 8배나 높았습니다.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유가족이 자살 예방 전문가로 나설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