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리뷰]
[앵커]
정부는 이번 일자리 정책에서 특히 '사회적 기업' 활성화를 강조했습니다.
협동조합이나 마을기업 등이 대표적인데요.
투자를 늘리고 공공기관이 직접 고객이 되는 등 지원에 나서겠다는 겁니다.
이준흠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15년, 택시기사들이 모여 만든 한국택시협동조합은 법정관리에 들어간 회사를 인수했습니다.
업계 고질적 문제인 사납금 대신 월급제를 도입해 임금을 100만원 가까이 올렸고 조합원이 직접 회사경영에도 참여했습니다.
2년만에 기사 수와 매출 모두 2배로 뛰었습니다.
이처럼 '사회적 기업'은 구성원들의 참여를 바탕으로 돈보다는 일자리 창출같은 사회적 가치를 먼저 추구하는 곳을 말합니다.
일자리 수를 늘리는 것은 물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고, 생존률도 높은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부처별로 지원제도가 나눠져 있고 초기 자본 마련이 어려워 국내에서는 활성화되기 힘든 환경이었습니다.
<박계동 / 한국택시협동조합 이사장> "차 면허권이나 차 정도는 담보로 잡아주는데 이율은 높고 또 저희들은 처음에 인수할 때는 그것마저도 없었어요. 그래서 많은 애로를 겪었는데…"
정부는 우선 대출 한도를 높이고 투자 펀드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공공기관이 이들 제품을 의무적으로 사도록 하고 지원을 전담할 위원회도 설치합니다.
특히 청년창업 지원과 연계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혁신성도 갖춘 일명 '소셜벤처'를 위한 기반도 닦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1.4%에 불과한 사회적 기업의 고용비중이 유럽연합 수준인 6.5%까지 오르면 일자리 130만 개가 더 생길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준흠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