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정부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에 국내 증시도 롤러코스터를 타면서 코스피 변동성이 4년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커졌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11일까지 코스피의 일중 변동률은 평균 1.97%로 집계됐습니다.
ADVERTISEMENT
이는 월별 기준 지난 2021년 2월(2.03%) 이후 4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일중 변동률은 당일 지수의 '고가와 저가의 차이'를 '고가와 저가의 평균치'로 나눈 값인데, 즉 당일 지수의 평균값 대비 변동 폭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지수가 위·아래로 크게 움직일수록 값은 커집니다.
지난해 1월 1.15% 수준이던 일평균 일중 변동률은 8월 미국 경기침체 우려에 증시가 급락한 '블랙먼데이' 여파로 1.61%까지 높아졌습니다.
이후 다시 안정세를 보이며 올해 2월 1.02%까지 낮아졌다 3월 1.19%로 소폭 반등한 뒤 이달 들어서는 2%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일별로 보면 지난달 31일 1.39% 수준이던 일중 변동률은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발표한 지난 3일 2.09%를 기록하며 2%대로 올라선 뒤 4일에는 2.78%까지 치솟았습니다.
이후 오름폭을 소폭 줄였지만 여전히 2% 부근에 머물러 있습니다.
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증시가 급등락을 반복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지난 7일 코스피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34%의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자 관세 전쟁 현실화 우려에 5.57% 급락했으며, 이튿날은 장 초반 2%대 상승세를 보이다 강보합세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상호관세 발효일인 9일엔 상호관세 발효 시점인 오후 1시를 기해 낙폭을 키워 1년 5개월여 만에 2,300선 아래로 주저앉았으나, 다음날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6.6% 급등했습니다.
한국형 공포지수로 불리는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도 급등락세를 보였습니다.
VKOSPI는 옵션 가격에 반영된 향후 시장의 기대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수로, 코스피가 급락할 때 급등하는 특성이 있어 '공포지수'로 통합니다.
코스피가 5% 넘게 급락한 지난 7일 VKOSPI는 전날 대비 65% 급등해 작년 8월 '블랙먼데이' 이후 최고치인 44.23를 기록했으나, 이튿날은 14% 급락해 37.83으로 떨어졌습니다.
9일엔 8% 급등해 다시 40선을 회복했으나 다음날 31% 급락해 28.20으로 주저앉았습니다.
이에 고위험의 레버리지·곱버스(인버스 레버리지) 상품을 대거 매수했던 '강심장' 개미들도 일별로 천국과 지옥을 오가야만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코스피200지수 상승 시 2배의 수익률을 얻는 상장지수펀드(ETF) 'KODEX레버리지'는 증시 급락에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된 지난 7일 주가가 1만3,195원으로 11% 급락했으나, 지수 급등에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된 지난 10일은 12% 급등해 1만4천원대를 회복했습니다.
반면 코스피200선물지수 하락 시 역으로 2배의 수익률을 얻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는 지난 7일 12% 급등해 2,600원대로 올라섰으나, 10일은 12% 넘게 급락해 2,300원대로 다시 주저앉았습니다.
주가 변동에 단기 차익을 노리고 몰렸던 투자자들은 역대급 변동성에 비명을 지르며 하루하루 마음을 졸여야만 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아직 관세 우려가 산재해 당분간 변동성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주가 #변동성 #트럼프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주영(ju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시각 주요뉴스
경제 최신뉴스
많이 본 뉴스
- 연합뉴스TV
- 포털
- 유튜브